(세종=연합인포맥스) 최욱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가 불러온 고용충격이 기혼여성에게 상대적으로 더 컸다는 분석이 나왔다.

김지연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22일 발간한 '코로나19 고용충격의 성별격차와 시사점' 보고서에서 "과거의 경제위기와 달리 코로나19 위기에서는 여성 고용이 상대적으로 큰 타격을 받았으며, 이는 기혼여성의 고용률 하락에 주로 기인한다"고 진단했다.

김 연구위원은 고용충격의 성별 격차 원인을 살펴보기 위해 취업자가 한 달 안에 실업과 비경제활동으로 이행할 확률을 분석했다.

실업은 취업 의사를 갖고 구직활동을 지속하는 경우로 실업 증가는 주로 노동 수요 감소를 의미한다. 반면, 비경제활동은 스스로 경제활동을 중단한 경우로 노동의 공급 측 요인도 반영된 지표다.

코로나19 1차 확산 시기인 지난해 3월 기혼여성 취업자가 실직할 확률은 1.39%로 두 달 전보다 0.71%포인트 높아졌다. 같은 기간 취업에서 비경제활동으로 이행할 확률도 3.09%에서 5.09%로 2%포인트 상승했다.

기혼남성의 경우 실직할 확률은 0.65%에서 0.75%로 0.1%포인트 올랐고, 취업에서 비경제활동으로 이행할 확률도 1.15%에서 1.67%로 0.52%포인트 상승하는 데 그쳤다.

김 연구위원은 "기혼여성의 실업 증가는 여성의 대면서비스업 취업 비중이 높은 데 따른 노동 수요 요인에 주로 기인한다"며 "비경제활동 증가는 학교 폐쇄로 인한 자녀돌봄 부담 증가를 비롯한 공급 요인에 주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김 연구위원은 코로나19 위기에서 부각된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에 따른 여성 노동 공급 제약을 해소하기 위해 자녀돌봄에 대한 사회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여성의 이른 경력단절은 영구적인 인적자본의 손실로 이어져 경제의 생산성과 활력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며 "영유아 중심의 현행 돌봄 지원정책이 초등학생 이상의 자녀도 충분히 포괄할 수 있도록 개편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의 일시적 충격으로 실직한 경제주체들이 원활하게 재취업할 수 있게 지원하는 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며 "실직자들이 새로운 유망산업으로 이동해 적응할 수 있도록 직업훈련을 강화하는 노력도 지속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wchoi@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2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