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인포맥스) 최욱 최진우 기자 = 올해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1.6%로 금융시장의 예상을 뛰어넘은 가운데 4월 소비자물가도 2.3%로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GDP에 이어 소비자물가가 상승폭을 키우면서 앞으로 통화정책을 비롯한 거시정책 기조에도 변화가 있을지 주목된다.

통계청이 4일 발표한 '4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7.39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3% 상승했다.

지난 2017년 8월(2.5%) 이후 3년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올해 들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월 0.6%, 2월 1.1%, 3월 1.5%, 4월 2.3%로 높아지는 추세다.

소비자물가의 상승폭이 커지는 것은 1차적으로 지난해 저물가에 대한 기저효과 영향 때문이다. 다만, 외식을 포함한 개인서비스 물가가 2.2% 상승하는 등 최근 경제심리가 개선된 영향도 엿보인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석유류 제외)도 1.4% 상승해 전월(1.0%)보다 오름폭이 커졌다.





지난 1분기 실질 GDP가 1.6% 증가하며 예상치를 상회한 데 이어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2%대로 올라서면서 이제 금융시장의 관심은 통화정책을 비롯한 거시정책 기조 변화로 이동하고 있다.

거시정책 결정에 있어 가장 큰 변수인 GDP와 물가가 요동치는데, 언제까지 완화적인 정책기조를 유지할지가 관심 포인트다. 실제 미국에서는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자산 매입 프로그램을 단계적으로 축소하는 테이퍼링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다.

앞서 캐나다중앙은행(BOC)은 지난달 주요국 가운데 처음으로 테이퍼링에 나섰다. 주간 국채매입 규모를 40억캐나다달러에서 30억캐나다달러로 축소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일시적으로 상승률이 높아진 소비자물가를 근거로 통화정책 기조가 변하기는 어렵다면서도 오히려 자산가격의 불균형 문제를 변수로 꼽았다.

오재영 KB증권 연구원은 "2분기 소비자물가에는 지난해 낮았던 기저효과 영향이 크다"며 "3~4분기 물가는 1.5% 내외로 둔화할 것으로 보여 통화정책에 변화를 주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얼 SK증권 연구원은 "추세적으로 소비자물가 상승으로 보기엔 기준금리 인상 판단이 이르다"며 "자산 불균형 문제가 있기 때문에 논의는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정부도 당장은 통화정책 기조변화에는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정부 관계자는 "오늘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도 자산의 가격이 적정한지 여부를 평가했다"며 "기준금리 인상은 그런 측면에서 논의할 수 있다고 보지만, 아직은 이르다고 본다"고 말했다.

wchoi@yna.co.kr

jwchoi@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0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