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아이원제일차 보증 불이행…확약물 등 경색 불가피, 경색 신호탄 우려

(서울=연합인포맥스) 피혜림 기자 = 강원도가 레고랜드 테마파크 기반조성사업을 했던 강원중도개발공사(GJC)에 대한 법원 회생 신청을 하겠다고 나서면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 경색 우려가 커지고 있다.

회생 절차 등에 돌입할 경우 강원도의 보증을 믿고 최고 등급인 'A1(sf)' 유동화물에 투자했던 기관들의 손실이 불가피해지면서다.

30일 투자금융 업계에서는 이번 사태가 지자체는 물론 증권사가 신용 보강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유동화물 전반의 불안으로 이어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특히 해당 사태가 수습 상황이 꼬이는 분기 말에 이뤄졌다는 점에서 채권 시장으로의 전이 등에 대한 걱정마저 나오는 모습이다.

◇강원도, 보증 ABCP 미상환…지자체 보증물 EOD에 시장 충격
특수목적회사(SPC) 아이원제일차는 전일 예정된 2천50억 원 규모의 ABCP를 차환 발행하지 않았다. 아이원제일차는 레고랜드 코리아 개발사업 조달을 위해 탄생한 SPC로, 해당 사업을 담당한 강원중도개발공사가 이를 통해 시장에서 자금을 마련했다.

강원중도개발공사의 대출채권을 기초자산으로 유동화물을 발행하되, 기한이익 상실 등이 발생할 경우 강원도가 직접 자금을 지급할 의무를 진 형태다. 이에 따라 아이원제일차는 유동화물 중 가장 높은 'A1(sf)' 등급을 받았다.

해당 ABCP는 2020년 11월 처음 발행돼 지난해에도 차환을 이어갔다. 하지만 전일 만기물은 차환이 이뤄지지 않았다. 주관사인 BNK투자증권은 기존 ABCP를 차환 발행할 예정이었으나 강원도가 이달 28일 강원중도개발공사에 대한 법원 회생 신청을 언급하면서 분위기가 달라진 것으로 전해진다.

김진태 강원지사는 28일 기자회견을 통해 "강원중도개발공사가 BNK투자증권으로부터 빌린 2천50억 원을 대신 갚는 사태를 방지하고자 중도개발공사에 대해 회생 신청을 하기로 했다"며 "법정 관리인이 제값을 받고 중도개발공사의 자산을 잘 매각하면 대출금을 갚을 수 있을 것"이라며 "도가 안고 있는 2천50억 원의 보증 부담에서 벗어나는 것이 이번 회생 신청의 목적"이라고 말했다.

차환 발행이 이뤄지지 않은 것은 물론, 보증을 약속한 강원도가 자금 지급 책임을 미루면서 시장 혼란은 가중되고 있다. 지자체가 보증한 PF 유동화물의 경우 부도 위험이 가장 적은 'A1(sf)' 등급이라는 점에서 투자 기관들의 신뢰가 상당했기 때문이다.

시장 관계자는 "개발공사가 도산 절차에 들어가면 공사의 채무가 줄어들면서 강원도가 약속한 지급보증의 채무액도 줄어든다"며 "이 경우 투자자들이 일부 손실을 감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연쇄 경색 우려…시장 불안 속 부담 가중
문제는 강원도가 보증 채무 불이행 의지를 드러내면서 이외의 강원도 보증물은 물론 다른 지자체 조달에도 연쇄 충격으로 번질 가능성이 커졌다는 점이다.

투자금융 업계 관계자는 "강원중도개발공사의 유동화물이 터지는 건 개발공사 자체의 기업어음(CP)이 터지는 것과 동일하다. 강원도가 보증한 대부분의 PF가 차환이 어려워지는 상황이 빚어질 수 있을 것" 이라며 "강원중도개발공사와 유사한 기관의 단기물까지도 금리 측면에서 점차 차등적인 모습을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ABCP 신용등급을 평정한 한국신용평가가 현재 등급을 부여한 지자체 개발공사는 5곳으로, 김해시도시개발공사(AA0)를 제외한 4곳이 'AA+' 등급에 해당한다.

앞선 업계 관계자는 "이제 강원도중도개발공사와 재정자립도가 비슷한 지자체 발행물의 금리 수준 및 신용평가기관의 평가 등이 차별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PF 유동화물 시장에 대한 우려 역시 커지고 있다. PF 시장의 경우 주택경기 악화 등에 따른 부실화 우려로 이미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이어 실제 PF 유동화물 투자 손실 가능성이 커지면서 이번 사건이 시장 트리거가 될 가능성 등을 염두에 두며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준정부에 해당하는 지자체를 믿고 투자했는데 이런 결과가 나오다 보니 시장의 혼란이 커지는 모습"이라며 "PF 유동화물의 경우 증권사 확약물도 상당하는 점에서 투자자들이 자금 환수를 시작할 경우 이들의 차환 발행 리스크 등도 커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수급 여건이 꼬이는 분기 말에 관련 사태가 부상했다는 점에서 채권시장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된다.

증권사 관계자는 "금융당국의 채권 시장 지원 등으로 전일 시장이 다소 진정되는 모습이었는데 이번 ABCP 사태로 CP 금리 상승 등의 가능성이 커졌다"며 "분기 말의 경우 수급 등으로 금리 상승 등이 두드러진 시기인데 이와 겹쳐 채권 시장 전반으로의 전이 가능성 역시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phl@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0시 09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