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오진우 기자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간 향후 금리 경로에 대한 견해가 엇갈린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금통위원은 수요측 물가 상승 압력을 우려할 단계는 이미 지났다면서 과도한 경제활력의 위축을 우려했다.

반면 일부 금통위원은 긴축 기조를 확고히 하는 가운데 필요할 경우 추가로 금리를 올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수의 위원은 긴축 기조가 유지될 필요가 있다는 데는 공감대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한은이 공개한 1월 금통위 의사록을 보면 금리 3.25%로 동결을 주장했던 A위원은 "지난 1년 반에 걸친 긴축적 통화정책의 효과가 본격화되고 있다"면서 "총통화(M2)의 증가세가 급격하게 둔화하고 있으며, 추세가 이어진다면 물가를 감안한 실질통화량의 감소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는 수요 측면에서의 물가상승 압력 확대를 경계할 단계는 이미 지났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이 위원은 "최종 기준금리 수준이 상당 기간 유지될 것이 예상되므로 경제활력이 과도하게 위축될 가능성을 경계할 필요가 있다"면서 거듭 금리 동결 필요성을 주장했다.

금리 동결을 주장했던 B위원은 "올해 경기가 당초 예상을 하회하는 수준으로 낮아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현재 금리수준이 상당히 긴축적"이라면서 "물가상승률의 경우 아직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기는 하지만 완만하게 하락하기 시작했고, 그 속도에 불확실성은 있으나 내년 이후 목표 수준에 근접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추가 긴축 여부는 그동안 지속된 긴축정책의 파급효과 정도와 실물경제 흐름, 대외여건 등을 지켜본 후에 결정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한다"고 동결 주장 이유를 부연했다.

반면 C위원은 추가 금리 인상 등 물가의 빠른 안정에 집중하는 통화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내놨다.

그는 "물가상승률이 빠른 시일 내에 목표 수준 가까이 수렴될 것이라는 확신이 설 때까지 긴축기조를 유지하고 필요시에는 추가 기준금리 인상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C위원은 "긴축적 기조를 충분한 기간 동안 유지하는 것이 또한 그동안 과도하게 증가해온 가계부채의 디레버리징을 원활히 하고 우리 경제의 장기적 건전성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측면도 있을 것"이라면서 "우리 경제와 금융시장 상황에 비춰보면 지금의 디레버리징과 경기 위축의 비용을 감내하는 과정이 향후 안정적 성장기반의 조성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D위원도 긴축 기조의 유지 필요성에 방점을 찍었다.

D위원은 "경제 성장세가 둔화되면서 당분간 잠재성장률을 하회하는 흐름이 예상되나, 현재와 같은 높고 지속성 있는 인플레를 목표 수준으로 되돌리기 위해서는 단기적인 성장세 둔화는 감내할 필요가 있다"면서 "거시경제의 안정적 성장기반을 되찾기 위해서는 물가가 목표 수준으로 수렴하는 추세가 확인될 때까지 긴축적 정책 기조를 확고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까지는 전례 없는 인플레의 빠른 상승에 대응해 금리를 이에 상응하는 수준으로 인상하는 데 주력했다"면서 "이제 금리가 긴축적인 영역으로 진입한 만큼 앞으로는 기조적 물가 압력을 제어하고 기대 인플레의 안착을 유도하는 것이 정책 운용의 핵심이 되어야 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 위원은 추가 인상 여부는 그간의 금리인상 효과와 함께 향후 성장과 물가 흐름 등을 보아가면서 결정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덧붙였다.

E위원은 "수요 측면의 인플레를 억제할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한다"면서 "인플레는 '입법 없는 과세'이며 실물자산이 상대적으로 적은 저소득층에 더 큰 해악을 미친다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고 금리 인상 이유를 밝혔다.

그는 금융시장 불안은 다른 시장안정화 정책으로 대응할 수 있는 만큼 금리는 물가 대응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이 위원은 또 "주택가격의 연착륙과 디레버리징을 도모하는 정책 조합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3.5%로의 금리 인상에 동의했던 F위원은 "악화로 수출과 내수가 동반 부진한 상황이나, 물가상승률 여전히 높은 점 등을 고려해 이번에도 기준금리를 25bp 인상해 긴축기조를 이어갈 필요가 있다"면서도 "다만 향후 기준금리 운영에 있어서는 물가가 현재 전망대로 둔화 흐름을 이어간다면 실질금리의 상승에 따른 경기 부진 및 금융안정 리스크 측면의 부담을 고려하여 추가 인상 여부를 신중히 결정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
연합뉴스


jwoh@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6시 51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