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한종화 기자 = 전자부품 제조업, 금융업 등 고임금 산업과 저임금 산업의 격차가 커지면서 임금 불평등이 확대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은행 조사국 고용분석팀 오삼일 차장과 이종하 조사역이 3일 발간한 '산업간 임금격차 확대 분석'에 따르면 최근 약 10년간 산업 간 임금 분산 증가는 임금 분포 양 끝단에 있는 일부 산업이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여율 'Top 10' 산업 중 고임금 'Top 5' 산업은 기여율 순으로 전자부품 제조업, 연구개발업, 금융 및 보험 서비스업, 금융업, 전문서비스업이었다.

저임금 'Top 5' 산업은 기여율 순으로 사회복지 서비스업, 기타 개인 서비스업, 교육 서비스업, 음식점 및 주점업, 사업지원 서비스업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력과 경력 등 소위 '스펙' 변수를 통제한 뒤 비교해 얻은 결과다. 어떤 산업에서 일하는 것만으로 상대적으로 더 높은 임금을 받았다는 얘기다.

오삼일 차장은 "예를 들면 같은 조건(성별, 학력, 나이, 경력, 직업 등)의 근로자가 전자부품 관련 제조업에서 일하면 사회복지 서비스업에서 일하는 경우보다 임금이 09~12년 중에는 40% 높았으나 18~21년 중에는 54% 높다"고 말했다.



근로자의 구성 변화도 임금 격차를 확대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고임금 근로자들은 고임금 산업으로, 저임금 근로자들은 저임금 산업으로 몰리는 현상이 나타난 영향이다.

오 차장은 "동일 산업 내에서 임금 불평등이 줄어들었음에도 산업 간 임금 격차가 확대(임금 요인)되고 산업별 고용 비중이 변화(고용 요인)하면서 전체 임금 불평등이 늘어났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기업이 핵심 업무 위주로 동질적인 근로자들을 채용하고 여타 업무(IT, 회계, 인사, 시설관리 등)에 대해 아웃소싱을 확대하는 것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한은은 다만 이 과정에서 근로자들의 선별과 단절이 지나치게 심화될 경우 산업 간 임금 격차가 장기적으로 더 확대되고, 산업 간 근로자 이동도 제약될 수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오 차장은 "(선별과 단절 현상이) 너무 심화할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산업간 이동성을 높일 수 있는 적극적인 노동시장 정책이 필요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jhhan@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2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