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홍예나 기자 = 미국 신용등급이 강등된다 해도 2011년 당시처럼 그 여파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26일(현지시간) 야후파이낸스에 따르면 릭 뉴먼 수석칼럼니스트는 최근 피치의 미국 신용등급 강등 경고에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가 소폭 상승한 이유는 "2011년의 선례가 있어 새로움이 없고 피치의 경고가 긴박감을 더해 실제로 의회의 협상 성사에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뉴먼은 "2011년 신용등급 강등이 당초 우려했던 것처럼 미국의 차입비용을 높이거나 미국 국채 시장을 뒤흔들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그는 "실제로는 2011년 신용등급 강등 이후 미국 국채 금리가 하락하며 미국 차입 비용을 낮췄다"며 "시장이 정치적 기능장애(dysfunction)에 처벌이 아닌 보상을 가져다주는 역설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말했다.

2011년 S&P의 신용등급 강등 당시 금융 혼란을 우려한 투자자들이 가장 안전한 자산인 미국 국채로 몰리며 미국 국채 금리가 하락한 바 있다.

당시 유럽 부채 위기 등의 요인도 미국 국채의 수요를 늘리는 데 기여했다.

S&P의 신용등급 강등 다음 날 미국의 10년물 국채 금리는 2.58%였고 3거래일 후에는 2.17%까지 떨어졌다.

2011년 10년물 국채 금리의 마감가는 1.89%였다.

앞서 옥스퍼드 이코노믹스는 "올해 미국 양당이 부채한도에 대해 합의를 이루지 못할 경우 추가적인 지지 요인 없이도 상당한 안전자산 선호가 예상된다"
다만 뉴먼은 "피치나 여타 신용평가사의 신용등급 강등이 파멸적이지는 않을 테지만 그렇다고 고통이 아예 없다는 건 아니다"라고 언급했다.

그는 미국 단기 국채 시장은 이미 압박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데이터 트랙에 따르면 최근 만기가 6개월 이하인 미국 단기 국채의 금리는 모두 기준금리를 넘어섰다.

뉴먼은 이는 "투자자들이 향후 몇 달간 채무 불이행될 가능성이 있는 채권을 구매하며 프리미엄을 요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앞서 무디스는 미국 신용등급이 강등되면 정부와 연계된 패니매나 프레디맥과 같은 주요 국책 주택담보금융업체와 연방지출에 크게 노출된 민간 기업 등이 재정적 스트레스를 받게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피치는 지난 24일 미국의 'AAA' 신용등급을 '부정적 관찰 대상'으로 편입했다. 이는 의회가 현재의 부채한도 협상 교착상태를 제때 해결하지 못하면 미국 신용등급을 최고등급인 'AAA'에서 강등할 수 있다는 의미다.

ynho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1시 29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