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규창 기자 =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운용한 부실채권정리기금(이하 기금)이 지난 15년 동안 공적자금 회수율 119%라는 성적을 남기고 오는 22일 임무를 마친다.

기금 성과는 단순히 수치에 그치지 않는다.

우리나라가 외환위기를 극복하는데 크게 기여했고 경제 위기를 극복하는 하나의 모델을 수립했다는데 큰 의미를 갖는다. 기금 조성과 회수는 해외에도 모범사례로 소개됐을 정도다.

지난 1997년 외환위기 때 설치된 기금은 그동안 39조2천억원(회수자금 17조6천억원 포함)을 조성해 금융회사 부실채권 111조6천억원을 인수했다. 이 가운데 46조7천억원을 회수, 투입자금 대비 7조5천억원을 초과해 거둬들였다.

공적자금 회수율은 119%에 이른다.







물론 일각에서는 '15년간 투자 수익률로 따지면 얼마되지 않는다'고 지적한다. 그러나 위기 상황에서 금융기관이 보유한 부실 자산을 인수해 다시 팔 수 있는 자산으로 바꾸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기금에는 맞지 않는 평가 잣대라는 게 중론이다.

캠코는 기금채권을 모두 상환하고도 이익이 발생해 당초 출연금 4조1천억원보다 6조7천억원을 초과한 10조8천억원을 출연기관에 조기반환했다. 출연기관의 회수율은 265.5%에 달한다.

내년 1월 매각 종료 예정인 대우일렉트로닉스(장부가 977억원)와 대우조선해양(8천557억원), 쌍용건설(357억원) 등 남은 자산(지분)을 고려하면 회수율은 더 높아진다.

캠코는 내년 2월22일(최종 청산시한)까지 나머지 주식을 매각할 예정이다.

IB와 NPL 업계는 기금의 진정한 성과는 유형의 현금과 금융권 부실자산 감소가 아닌 무형의 노하우라고 평가하기도 한다.

캠코는 M&A 매각 등으로 14조3천억원, 인가계획상환과 법원경매 등으로 13조원, 환매 해제로 10조3천억원, ABS 발행 등으로 6조5천억원, 국제 입찰로 1조7천억원, 변제계획회수로 9천억원의 기금을 회수했다.







국제입찰과 해외 ABS, 합작자산관리회사(JV-AMC), 합작기업구조조정회사(JV-CRC) 등에 많은 해외투자자가 참여함으로써 국내에 부실채권시장이 형성됐다.

정부는 CRC와 함께 기업구조조정투자회사(CRV) 제도를 도입했고 이를 바탕으로 한 캠코의 노하우는 국내 금융회사에도 전파돼 1999년 이후 은행권 스스로 부실채를 처리하기 시작했다.

또, 대우종합기계, 대우인터내셔널, 동아건설, 교보생명, 쌍용양회 등 지분을 M&A 방식으로 매각한 캠코는 사업부문 분할 매각, 사전 M&A 추진 후 법원의 회생절차에 편입하는 프리패키지(Pre-package) 방식 최초 도입, 공기관 주체 해외 투자자에 매각한 크로스보더(cross-border) 사례 등 노하우를 축적하고 전파시켰다.

장영철 캠코 사장은 "부실채권정리기금은 공적자금의 첫 청산사례라는 데 큰 의미가 있다"며 "기금 운용으로 발생한 잉여금 7천억원을 재원으로 '신용회복기금'을 설치한 점도 큰 성과"라고 자평했다.

장 사장은 "대우조선, 쌍용건설 지분을 남은 자산을 성공적으로 매각할 것"이라며 "국가 경제의 상시구조조정을 지원하는 경제 안전판으로 책무를 다하겠다"고 말했다.

scoop21@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