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남승표 기자 = 정부의 지원방안에 대해 건설업계에서는 미봉책보다 시장을 살릴 근원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28일 정부의 하반기 경제정책을 접한 건설업계의 반응은 차가웠다.

건설업계는 현재의 유동성 위기는 지난 2008년과 달라 일시적인 자금 공급으로 넘어갈 상황이 아니라고 진단했다.

수도권과 지방에 아파트 사업장을 지니고 있는 한 중견 건설업체 임원은 "미분양 아파트 때문에 유동성 위기에 봉착했던 과거와 달리 지금은 분양을 받고도 입주하지 않는 미입주 아파트들이 위기의 원인이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난 26일 법정관리를 신청한 벽산건설도 분양에는 성공했지만 낮은 입주율 때문에 애를 먹은 것으로 안다"며 "프라이머리 채권담보부증권(이하 P-CBO)으로 유동성을 공급해 준들 상환할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건설사들이 입주를 독촉하기 위해 압류 통지서도 보내고 법원에 경매를 신청해도 "있던 집이 팔리지 않으니 어쩔 수 없다"는 대답만 듣는다는 것이다.

그는 "미분양이라면 할인매각이라도 하겠지만 미입주는 건설사 소유가 아니라 이것도 안된다"면서"차라리 정부에서 미입주 아파트를 사들였으면 좋겠다"고 호소했다.

건설업계는 PF정상화뱅크에 대해서도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최근 2년 동안 지방 아파트 시장이 회복되면서 대부분의 PF사업장이 정리돼 지금 남아 있는 지방 사업장은 사업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기 때문이다.반면 수도권 PF 사업장은 비싼 토지비용으로 1개 사업장 인수에 1~2천억 원의 비용이 소요돼 정상화뱅크 재원으로 책정된 2조 원으로 인수할 수 있는 사업장이 얼마 되지 않을 것이라는 게 건설업계의 진단이다.

다른 중견건설업체 임원은 "자칫 특혜 시비가 일 수도 있는데 PF 정상화 뱅크가 제대로 기능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건설업체는 주택 수요를 살려 시장을 회복시키지 못하면 미봉책으로 위기를 벗어나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건설산업연구원 빈재익 박사는 "유동성 공급이나 부실채권 인수같은 미봉책보다 시장을 살릴 수 있는 근본적인 방안에 대한 고민이 아쉽다"고 말했다.

spna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