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남승표 기자 = 6년 전 수준으로 하락한 서울 아파트 가격에 대해 전문가들의 해석이 분분하다.

소득 대비 가격(Price to Income Ratio, PIR)이 여전히 높다는 시각이 있는가 하면 명목가격이 하락한 만큼 충분히 빠졌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4일 서울 아파트 가격이 2006년 12월 수준인 3.3㎡당 1천683만 원으로 하락한 데 대해 바닥권으로 진입했다는 시각과 추가 조정이 남아 있다는 상반된 해석을 내 놓았다.

아직 주택시장은 조정이 진행 중이라는 '추가조정론'은 PIR 수준이 여전히 높다는 데 근거를 두고 있다.

국민은행에서 조사한 서울 아파트의 중위가격은 4억8천995만 원으로 통계청의 지난 2분기 가계평균 소득의 연환산 금액인 4천730만 원의 10배에 이른다.

이는 일반 가계가 서울 아파트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10년 동안 한 푼도 쓰지 않고 소득을 모아야 한다는 뜻이다.

임인섭 농협경제연구소 실장은 "적정 PIR 수준이 얼마라고 이야기하기는 어렵다"면서도 "부동산 시장이 고점이던 2007년보다 지금의 PIR이 낮지만 소득과 저축률, 부채부담을 감안했을 때 여전히 부담스러운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임 실장은 지난 10년 동안의 연평균 가처분 소득 증가율이 5.7%였던 점을 생각하면 2015년에는 PIR이 2000년 수준으로 안정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바닥진입론'은 실질 가격에 이어 명목가격까지 하락한 만큼 아파트 가격이 바닥권에 진입했다는 시각이다.

2010년 소비자 물가지수를 기준으로 측정한 지난 8월 소비자 물가지수는 106.3으로 2006년12월 88.4보다 20% 가량 상승했다. 이를 고려했을 때 서울 아파트 가격은 최소한 2천만 원대는 유지해야 한다.

손재영 건국대 교수는 "일시적인 가격 변동이야 항상 있는 것"이라고 전제하면서도 "최근 열린 부동산 모니터링 그룹(RMG) 회의에서도 다수의 참가자들이 서울은 사실상 바닥권에 진입한 것이 아니냐는 시각이 많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채훈식 부동산1번지 실장은 "가격만 살펴본다면 충분히 바닥이라고 볼 수 있다"면서도 "불황에 대한 우려와 추가 하락에 대한 우려가 수요자들의 움직임을 가로막고 있다"고 진단했다.

spna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