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남승표 기자 = 주택시장이 성숙기에 도달함에 따라 주택산업의 축이 건설공급에서 서비스관리 중심으로 옮겨가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에 맞춰 정부도 주택 보급률 중심의 양적인 성장목표에서 다양한 주거 수요 충족으로 정책 전환을 시도해야 한다는 조언도 함께 제기됐다.

주택산업연구원(원장 남희용)은 5일 한국주택협회(회장 박창민) 의뢰로 수행한 '주택산업 신성장동력 창출' 연구보고서에서 "앞으로 주택산업이 성장하려면 소비자의 주거가치를 높이는 서비스 산업으로 진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주산연은 주택보급률이 이미 2010년 전국기준 115%에 이르는 등 정부의 총량공급 목표에 맞춘 획일적인 아파트 건설ㆍ분양사업에 치중된 구조로는 주택산업이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기 어렵다고 진단했다.

실제로 한국보다 30년 앞선 1970년대 초반 주택보급률 100%를 달성했던 일본의 종합건설업체는 2000년대 들어 2%의 낮은 수익률로 고전하고 있다.

하지만, 부동산 개발ㆍ중계ㆍ관리 역량을 갖춘 종합부동산회사(종합디벨로퍼)는 2008년 리먼사태 직후에도 10.8%의 수익률을 올리는 등 같은 시장 상황에도 종합건설업체와 현격한 수익률 격차를 보였다.





주산연은 독신층, 맞벌이 부부, 노인세대 증가 등으로 주택 수요도 세분화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새로운 주택상품과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22개의 주거 관련 신사업 모형을 선정해 육성하는 일본 정부의 사례를 들어, 다양한 상품개발을 가로막는 가격 규제를 철폐하고 임대주택관리업 등 주거 서비스 산업이 정착할 수 있는 제도적 지원 방안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찬호 주산연 연구위원은 "주택시장 수요가 점점 세분화되고 다양하게 바뀌는데 획일적인 가격 규제가 상품 개발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며 "시대에 맞지 않는 분양가 상한제는 폐지하고 청약제도도 지금과 다른 방향을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김 연구위원은 "시공과 단순 도급에 주력했던 국내 건설업체들도 종합부동산업체로 사업 방향 전환을 고려해야 할 시기가 됐다"고 덧붙였다.





spna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