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현재시점에서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당면한 긴박하고 중요한 국가적 난제는 '환율 이슈'다.

걱정스러운 것은 중장기 환율 정책의 수립뿐만 아니라 당장에 새 정부가 출범하는 2월 25일까지 외환당국자들의 인수위 업무보고, 인사(人事) 등으로 말미암아 분초 단위로 24시간 365일 요동치는 글로벌 환율 전장(戰場)에서 '책임있는 대응'에 구멍이 생기지나 않을까 하는 점이다.

불꽃튀는 글로벌 환율 전장(戰場)에서는 미세하더라도 당국의 일사불란한 대응이 중요한데, 자칫 권력 교체기에 자칫 왜곡된 단기 장세가 발생해 중장기(中長期) 환율의 흐름으로 고착되고 자칫 향후 5년간 한국경제 호(號) 전체를 위기로 몰아넣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리콴유(李光耀) 싱가포르 총리는 연전에 "97년 외환위기의 원인은 당시 아시아 각국 지도자가 외환시장이라는 곳이 실시간(real-time)으로 움직인다는 사실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작고 개방된' 경제체제인 대한민국의 지도자는 따라서 환율에 대한 깊이 있는 인식을 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는 국가 리스크관리에서 핵심적 의제(Agenda)다.

정초부터 엔화는 달러당 88엔을 넘어 질주, 작년 10월 이후 12% 이상이 평가절하됐다. 대조적으로 같은 기간 원화는 달러에 대해 4.5% 이상 절상됐다. 새 정부 출범과 맞물린 전환기에 우리 당국자들이 다소 '어정쩡'하는 사이 일본 정부가 '대반격'에 나서는 모습은 환율문제가 앞으로 지역적 국지화 분열로 진행될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

글로벌 차원의 부양책 효과보다 국가별 지역별 이슈에 초점을 맞춰 각개 전투가 전개되면서 '아베 라인'이라 불리는 90엔대의 회복이 가시화되는 반면, 달러-원이 1천 원대를 깨고 내려가면 한국경제는 어떻게 될까. 그동안 구가하던 기업 경쟁력은 추락하고, 무역수지 흑자가 흐트러지면서 거시경제 변수가 혼란에 휩싸일 수 있다. 일본 기업이 환율정책을 등에 업고 가격 경쟁력을 키우면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 기업은 최대 피해자가 된다.

박 당선인 측은 아직 이와 관련해 환율정책을 명확하게 제시하지 않고 있다. 다만 공약에서 민생을 강조하고 중산층 복원을 전면에 내세운 만큼 이명박 정부의 고환율 정책을 무작정 고수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추정만 나온다.

인수위 경제 1분과 간사와 전문ㆍ실무위원이 기획재정부에서 한솥밥을 먹은 식구들인 만큼 환율과 국제금융에 대한 교감은 쉬울 것으로 보이고, 다른 인수위원들과 대통령 당선인까지 환율정책에 대한 인식과 공감이 이루어지면 새 정부의 환율정책은 예상보다 빨리 자리 잡을 것이다.

이 과정에서 박 당선인은 우리 외환당국의 환율담당 라인들이 국제통화기금(IMF) 체제 이후 피와 살이 찢어지며 실전을 경험하고, IMFㆍIBRD(국제부흥개발은행) 등에서도 인정받는다는 점에서 전문지식과 경험을 최대한 존중할 것으로 보인다. 동시에 실제 시장 경험 없고 설익은 이론만 내세우는 학자들의 의견은 적절히 통제할 것으로 예상한다.

새 정부 환율정책의 윤곽이 이른 시일 안에 모습을 드러내길 기대해본다.

(취재본부장/이사대우)

tschoe@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