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규창 기자 = `출자총액제한제도 부활과 순환출자 금지, 대형마트와 SSM(기업형슈퍼마켓)의 골목상권 진출 제한, 대기업계열 IT서비스 업체의 공공사업 참여 제한.'

정치권이 선거철을 맞아 대기업을 규제하려는 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각종 안에 대한 논쟁이 벌어지고 대기업의 반발로 완화될 수도 있으나 일단 대기업의 문어발식 경영에는 제동이 걸릴 전망이다.

이에 대해 M&A 업계는 이미 공정거래위원회를 앞세운 정부·여당이 대기업을 규제하면서 많은 계열사가 매물화되고 있고 앞으로도 사업 철수가 이어질 것으로 13일 예상했다. 대기업 규제로 중소형 규모의 우량 매물이 속출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삼성그룹은 지난해 정부의 소모성 자재 구매대행사업(MRO) 규제 움직임으로 아이마켓코리아를 인터파크 컨소시엄에 매각했고, 한화그룹도 한화S&C의 MRO 사업을 다른 업체에 이관했다. MRO 사업을 영위하는 다른 그룹들도 매각 여부를 놓고 여전히 눈치를 보고 있다.

줄곧 인수자로 나섰던 롯데와 신세계 등 유통 공룡들도 매각자 위치에 서야 할 상황이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달 롯데쇼핑의 CS유통 인수에 대해 경쟁제한 우려가 있는 지역의 점포를 매각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이는 공정경쟁당국 차원에서 SSM의 M&A에 대한 최초의 시정조치 사례지만 예고편에 불과하다.

대기업의 골목상권 진출을 제한하는 규제안이 정치권에서 논의되는 것. 이미 출점한 대형마트의 영업시간과 판매품목을 제한하는 내용까지 거론됐다. 유통업체들의 반발 등을 고려하면 실제 발효까지 이어질지는 미지수지만 지역상인 보호에 집중하는 정치권에 의해 일부 지역에 따라 점포 축소·정리가 있을 수 있다.

대기업계열 IT서비스 업체도 공공 발주를 못하게 된다면 성장성에 큰 타격을 입게 된다. 계열 IT수요를 제외하고 사업을 축소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또, 현대차그룹과 롯데그룹, 호텔신라 등은 잇따라 빵집 및 카페 사업 철수하겠다고 밝혔고, LS네트웍스는 자전거 소매사업 철수를 선언하기도 했다.

4대 그룹은 SI, 광고 ,건설, 물류 등 4개 분야에서 계열사 간 내부거래를 경쟁입찰키로 했다. 경우에 따라서는 계열 분리 등도 가능하다.

출총제 부활이나 순환출자 금지는 중장기적으로 대기업이 인수주체로 나서는 M&A를 위축시킬 수 있으나 단기적으로는 해소과정에서 지분 매각, 계열 분리도 있을 수 있다. 비록 금융산업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금산법)에 따른 것이나 삼성카드가 에버랜드 지분을 KCC에 매각한 것과 같은 일이 잦아질 수 있다는 게 관련 업계의 설명이다.

한 M&A 전문 변호사는 "대기업 규제안이 상위 법률과 충돌하고 대기업과 협의 과정에서 축소될 수 있어 그 영향을 미리 예단할 수는 없다"면서도 "다만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영역을 침범하는 사업에 대한 정리는 꾸준히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국내 IB의 한 관계자는 "출총제를 시행해도 대기업 계열사 수는 줄지 않았는데, 이는 예외규정이 있었기 때문"이라며 "따라서 이번에는 각종 규제안의 실효성에 역점을 둘 것으로 보여 대기업발 사업 재편이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대기업 규제는 대기업의 또 다른 M&A 수요를 촉발할 수 있다는 예상도 있다. 또 대기업 사업 정리 과정을 잘 감시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외국계 IB 관계자는 "대기업의 특성상 사업 정리에 따른 성장 둔화를 두고만 보고 있지는 않을 것"이라며 "핵심 사업에서는 M&A를 통해 더 덩치를 키우는 쪽으로 움직일 수 있다"고 진단했다.

다른 관계자는 "사업 철수 과정에서 PEF를 이용해 잠시 맡겨두는 파킹(Parking) 가능성도 있다"며 "이에 대한 감시도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scoop21@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