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올해 처음으로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금융 완화를 유지하겠다'는 정책 결정 내용보다 그것에 반대표를 던진 한 사람에게 언론의 시선이 집중됐다. 주인공은 올해 처음으로 FOMC 투표권을 얻은 에스더 조지 캔자스시티 연방은행 총재다. 투표권을 받자마자 반대한 사례가 나온 건 1986년 이후 27년 만에 처음이다. 조지를 제외한 나머지 투표자(11명)들은 모두 찬성했다.

조지 총재는 이번 회의에서 "이제까지 계속된 통화완화 정책이 미래 경제와 금융의 불균형을 유발할 위험을 키우고 장기 인플레이션 기대의 상승을 유발한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위기 이후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미국 경제에 대한 걱정보다는 인위적 경기부양이 일으키는 부작용을 반대한다는 '강성 매파'의 입장을 밝힌 셈이다.









조지 총재는 전임자인 토머스 호니그의 뒤를 이어 2011년 10월부터 캔자스시티 연준을 이끌고 있다. 작년까지는 투표권이 없어 참관만 했으나 올해 첫 투표부터 '강한 매파'임을 드러냈다.

호니그 총재 역시 강력한 매파였다. 호니그는 마지막 투표권을 행사한 2010년에 열린 여덟 차례의 FOMC 회의에서 모두 반대표를 던졌다. 그는 재임시 67번의 FOMC 투표기회가 있었으며 그중 18%(12번)을 반대했고, 대부분 임기 후반부에 반대표가 집중됐다.

첫 등장부터 반대(dissent)표를 던진 조지 총재는 이러한 호니그의 유산을 계승한 것으로 보인다. 캔자스시티연준에서 미국의 통화완화 정책을 반대하는 데는 나름의 이유가 있다. 캔자스시티가 관할하는 지역(미주리주 서부, 네브래스카주, 캔자스주, 오클라호마주, 와이오밍주, 콜로라도주, 뉴멕시코주 북부)의 경제상황이 다른 지역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탄탄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최근 농지가격이 급등하면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미국의 대표적 농경지인 프레리 대평원이 있는 캔자스시티연준 관할구역의 농지가격은 작년 3분기에 1년 전보다 20~25% 급등했다. 미국 중앙은행이 돈을 푼 것이 농산물 등 상품가격을 높이고 이 영향으로 농지가격까지 오르는 인플레이션 악순환이 이어지는 셈이다. 캔자스시티연준 입장에선 중앙은행의 무제한 양적완화가 하루빨리 끝나길 바라는 게 어찌보면 당연하다.

실제로 조지 총재는 공개석상에서 중앙은행의 양적완화를 비판해왔다. 그는 지난달 10일 캔자스시티 연설에서 "저금리와 농산품 수요가 늘어나 농지가격 상승을 유발하고 있다. 연준의 저금리 정책이 계속되면 금융의 불균형 위험을 자극하고 연준(Fed)의 2% 인플레이션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방해할 것이다"고 말했다.

작년 9월 연준이 무제한 양적완화를 결정했을 때에도 그는 지역언론인 데일리 오클라호마에 "저금리에 자금을 푸는 것이 미국 경제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 아니다. 정부가 올바른 정책을 펴는데 국민들이 관심을 가져야 한다. 제로금리에서 시장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그의 반대에도 연준의 정책이 변화하진 않을 게 확실하다. 연준의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12표중에 7표는 벤 버냉키 의장의 수족인 FRB 이사들이 갖고 있고 5표를 나눠가진 지역연방은행 총재들 중에서도 찰스 에번스 시카고 연방은행 총재와 에릭 로젠그렌 보스턴 연방은행 총재는 버냉키에 찬성하는 인물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조지 총재가 연준의 정책에 반대하는 것은 FOMC 회의에서 활발한 토론을 유도함과 동시에 '모두가 연준의 정책을 찬성 한 것은 아니다'라는 기록을 역사에 남기기 위한 것으로 외신들은 해석한다. 이에 따라 조지 총재의 1표의 반대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적어도 올 한해 연준의 표결은 11대1이 될 것으로 보인다. (국제경제부장)

jang73@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