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지루한 코스피(KOSPI)의 하방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 투자자들의 비명소리마저 새삼스럽지 않은 침체상태다. 올들어 한달여 간 코스피가 오른 날은 열흘도 안된다. 일봉 챠트를 보면 우하향 곡선을 연속 그리고 있다.

글로벌 증시가 1월 효과를 본 시기에 코스피가 유독 이런 궤적을 보인 이유는 세가지 정도다. 먼저, 수급상 프로그램 차익잔고가 4조원이 넘을 정도로 매물출회 부담이 여전하고, 뱅가드 펀드 벤치마크 변경에 따른 외국인 수급부담도 해소되지 않고 있다. 특히 환율 부담에서 벗어날 국면이 아직 아니란 점에서 주가가 압박을 받고 있다. 이외에도 부진한 국내 기업들의 4분기 실적이나 대북 리스크 등이 매도를 자극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하지만 상당수 전문가들은 코스피가 글로벌 증시와 디커플링 정도가 상당한 수준에 달했기 때문에 바닥권에 거의 도달하지 않았겠냐고 조심스레 관측하기도 한다. 하지만 의미있는 반등의 시그널은 여전히 자신할 수 없다.

이런 가운데 새정부 출범을 전후해 코스닥(KOSDAQ)시장을 봐야하지 않냐는 의견에도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최근 한달간 코스닥 일봉 차트)



우선 새 정부가 코스닥 상장업체들과 연관이 깊은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을 육성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그 배경이다.

여기에 중소기업 규제완화 움직임이 계속 진행되고, 코스닥 시장 활성화언급이 인수위를 중심으로 언급 되고있다. 금융위에서 준비 중인 `주식시장 기업자금조달 제고 방안' 역시 코스닥 상장기업에 대한 지원으로 평가되고 있다.

정부 조직 개편 측면에서도 중소기업청이 강화된 것이나 미래창조과학부가 신설 된 것도 코스닥 시장 활성화와 맞물려 있다.

특히 코스닥 시장이 과거 새 정부 출범때 활성화된 전력이 있다는 점도 설득력이 있다. 김대중 정부 출범 당시인 1999년 2월에 IT 벤처기업 육성정책이 나오고 그해 5월에 코스닥시장 활성화 방안이 세제지원 등을 중심으로 발표됐었다.

결국 이런 조치에 힘입어 벤처와 중소기업 관련 산업의 자금 조달이 크게 증가했고, 코스닥시장에 활황 계기로 작용했다.

2005년 노무현 정부 초기에도 벤처기업 활성화 대책이 발표되면서 인수합병(M&A)에 대한 규제도 완화돼 우회상장으로 코스닥에 진입하는 기업 증가하면서 제2의 코스닥 전성기를 구가했다.

현재 코스닥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바이오와 엔터테인먼트 업종의 발판이 이때 마련됐다고 볼 수 있다.

박근혜 정부의 중소기업 지원 강화를 위한 코스닥 시장 활성화 의지 역시 과거 사례와 차별화돼 진행될 공산이 높은 것으로 증권업계는 바라보고 있다.

특히 플랫폼, 네트워크 등 통신 및 통신장비, IT소프트웨어, 헬스케어와 문화 콘텐츠 및 미디어 관련 산업 등에 벌써부터 관심의 시선이 가고 있다.

관건은 코스닥 시장 활성화 대책이 제대로 효력을 발휘해 중소.중견기업들의 자본조달과 주가 상승으로 이어지느냐다.

이 과정이 제대로 진행되면 코스피 시장도 `스필오버(Spillover)식' 수혜를 볼 가능성이 높다고 증시 전문가들은 조심스레 기대하고 있다.

(산업증권부장)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