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의 한계는 경제부문에서 한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반쪽짜리 공동체라는 점이다. 부채 위기를 다루는 과정에서 구제금융이 쉽지 않은 것도, 남유럽이니 주변국이니 하면서 편이 갈리는 것도 회원국 각자의 논리가 다르기 때문이다. 유로화 강세에 관해서도 독일과 프랑스의 의견은 엇갈린다. 익숙하되 절대 편치 않은 장면이다.

프랑스는 유로화 강세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며 연일 목소리를 높인다. 지난주 유럽연합(EU) 정상회의에서 프랑수아 올랑드 대통령에 이어 11일 유로그룹(유로존 재무장관회의)에서 피에르 모스코비치 재무장관은 환율 조작을 비판하면서 유로존의 환율 공조와 환율 정책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그러나 독일과 유럽중앙은행(ECB)은 유로화가 고평가된 것은 아니라고 주장하며 인위적인 외환시장 개입에 반대하고 있다.

수출 타격을 우려하는 사회당 프랑스 정부와 자유 시장주의를 선호하는 독일 간에 좁혀지지 않는 간격이 분명히 존재한다. 독일은 프랑스에 필요한 것이 경쟁력 강화지 유로화 가치를 떨어뜨리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실제로 프랑스는 재정 취약국 국채를 많이 보유해 부채 위기에 취약한 데다 대(對)독일 무역에서도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 시사주간지 슈피겔 등 독일 언론들도 (유로화 강세에 대응해) 인위적으로 환율을 조작하면 모든 당사국이 결국 패배할 것이라며 프랑스의 주장을 부정적으로 풀이했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의 불안한 동행이 오는 9월 독일 총선 이후에 끝날지 지켜봐야겠지만 그때까지는 잡음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유로존은 오는 17일 키프로스 대선이 끝나면 키프로스 구제금융에 대해서도 3월께 결론을 내려야 한다. 독일은 키프로스에 추가 긴축을 요구하면서 쉽게 지원자금을 내주지 않을 태세다. (국제경제부 이효지 기자)

hjlee2@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