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보험업계가 때아닌 '사회공헌활동' 열풍에 휩싸였다.

생명보험사와 손해보험사 할 것 없이 자사의 기부금 전달 활동과 직원들의 봉사활동 참여 사실을 알리는 자료들을 쏟아내고 있다.

삼성생명과 한화생명, 교보생명 등 업계 상위사뿐 아니라 중소형사, 외국계 보험사도 사회공헌활동 뽐내기에 한창이다.

푸르덴셜생명의 '조혈모세포 기증 확대 프로젝트', 신한생명의 '저소득층 가정을 위한 학용품 나눔 활동', PCA생명의 '신생아 살리는 모자뜨기 캠페인' 등 사회공헌 릴레이가 이어지고 있다.

삼성화재와 동부화재, 현대해상, LIG손보 등 주요 손보사들도 사회공헌이 신경 쓰이기는 마찬가지다.

이쯤 되면 '보험사들이 사회공헌을 참 많이 하는구나'라는 생각보다는 그 배경에 관심이 더 쏠린다. 맘에 없던 봉사정신이 갑자기 확 솟아났던걸까.

그보다도 사회공헌 활동을 확대하라는 금융감독원의 지도 방침 영향이 크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금감원은 당기순이익 대비 사회공헌 관련 지출액과 배당금 대비 지출액, 전체 임직원당 봉사활동 참여 임직원 비율 등을 공시하라고 보험사들에 지침을 내렸다.

봉사활동에 참여한 임직원들의 일 인당 봉사시간뿐 아니라 보험사 임직원도 아닌 보험 설계사들의 일 인당 평균 봉사시간도 공시하라고 지시했다.

각사의 사회공헌 실적을 계량화해 줄을 세우고 실적이 낮은 곳을 '망신주기' 시켜서 궁극적으로 보험업권의 사회공헌을 확대하겠다는 취지로 읽힌다.

금융권의 사회공헌 확대라는 근본 의도는 좋지만, 그 방식이 다소 투박하고 '두서없다'는 비판이 업계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

객관적인 기준도 모호하고 공시 내용에 대한 검증 기능마저 없어 보험사가 등록만 하면 다 사회공헌으로 인정되는 탓에 '실적 부풀리기' 가능성도 제기된다.

직원들의 봉사활동 장소와 봉사 내용까지 모두 의무적으로 공개하라는 것을 두고는 '회사가 무슨 봉사활동 동아리냐'라는 볼멘소리도 나온다.

A보험사 한 관계자는 "금감원이 급하게 일을 진행하다 보니 봉사인원과 시간 등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들이 각사마다 다르고 검증도 어렵다"며 "보통 연(年) 단위로 사업계획을 짜는데 사회공헌실적을 분기마다 공시하라는 것도 합리적이지는 않다"고 말했다.

B보험사 관계자는 "대학 입학 전형도 아니고, 회사 임직원들의 봉사활동 시간을 분기마다 공시하도록 해 사회공헌 확대를 유도한다는 게 바람직한 생각인지는 곰곰이 생각해볼 문제"라고 꼬집었다. (산업증권부 한재영 기자)

jyha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