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김대도 기자 = 작년 사업이 전면무산된 133층 규모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DMC) 랜드마크 사업을 두고 출자사간 책임공방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부동산 침체의 그늘이 깊어지면서 용산개발 사업이 파열음을 낸 데 이어 주요 개발프로젝트가 몸살을 앓고 있다.

일부 소수출자들은 대우 등 주요 건설사들이 주주협약을 위반한 탓에 사업이 실패로 끝났다고 주장하는 반면, 대우건설은 부동산 경기 침체라는 대외적 여건변화가 주된 요인일 뿐이라고 대응하고 있다.

이 사업 공모자인 서울시는 7일 DMC랜드마크 용지 매매계약 해제와 관련해 이날 공청회를 열고 시행사 서울라이트타워를 부정당업자로 규정하고 5~7개월간 입찰참가자격을 제한할 예정이다. 서울라이트타워는 교직원공제회(20.17%)와 대우건설(10.64%) 주축으로 만들어진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PFV)다.

이 과정에서 밀레니엄빌더(1.91%) 등 전략적투자자들(SI)은 서울시에 대우건설과 대림산업(5.04%)이 사업무산의 실질적인 책임을 지고 제재를 받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서울라이트타워는 사업을 위해 한시적 구성된 기구로 이달중 유상감자를 통해 청산절차에 들어가는 만큼 제재의 실효성도 없다는게 소수출자사의 판단이다.

주요출자사에 따르면 대우건설 등 건설투자자(CI)는 지난 2008년 교직원공제회ㆍSI들과 신용공여을 통해 프로젝트파이낸싱(PF) 방식으로 자금조달을 책임지겠다는 특별약정을 맺었다.

하지만 대우건설 등이 지급보증을 해주지 않아 1조5천억원의 PF조달은 실패하고, 두번의 유상증자를 통해 자금이 수혈됐다. 자본금은 서울라이트타워 출범시 700억원에 지난 2009년 840억원과 2011년 880억원이 추가 투입됐다.

이에 따라 소수출자사들은 유상증자를 통해 불필요한 금액이 들어가면서 피해규모가 커졌다고 설명했다. 밀레니엄빌더는 총 50억원의 손실이 발생했다.

아울러 SI들은 대우건설 등이 시공권을 갖는 조건으로 건설부문의 모든 책임을 지기로 했음에도 서울시 공모안(100층 이상)을 크게 벗어난 80층 규모 건물로 변경하려 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대우건설 관계자는 "PF조달이 안되고 피해규모가 커진 것도 사업 리스크내에서 감수해야할 부분"이라며 "적자가 예상되는 계획안을 끝까지 고수할 수는 없었다"고 답했다.

A출자사 관계자도 "사업여건이 충분치 않았다는 점은 누구나 공감한다"면서도 "다만 주요 건설사가 파견한 서울라이트타워 임직원들의 역할이 미흡했다"고 말했다.

한편, 상암동 DMC랜드마크 사업은 3조7천억원을 들여 세계에서 두번째로 높은 133층 빌딩을 짓는 프로젝트다. 지난 2008년 서울시가 사업자를 공모하면서 시작됐다. 이후 부동산경기침체와 주주갈등을 빚으면서 작년 사업이 전면 백지화됐고, 현재 서울시와 출자사는 약 700어원에 달하는 위약금을 놓고 소송전을 준비하고 있다.

ddki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