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장용욱 기자 = 박근혜 정부가 방송과 ICT(정보통신기술) 부문에 대한 장ㆍ차관급 인선을 마무리했다.

방통위원장으로는 정무형 인사를 내세워 정책 조율을 중시했고, 미래창조과학부 차관 자리에는 전문관료와 민간 전문가의 균형을 맞췄다.

◇ 방통위, 여야 '조율' 위해 '정무감각' 중시 = 청와대는 24일 신임 방송통신위원장으로 이경재 전 새누리당 의원을 임명했다.

이 내정자는 강화고와 서울대 사회학과를 졸업했고, 동아일보 정치부장과 대통령 비서실 공보수석비서관, 공보처 차관, 15∼18대 국회의원 등을 지냈다.

친박 중진인 이 내정자는 지난 18대 국회의원 때는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에 소속돼 방송통신 관련 이슈를 전담하면서, 박 대통령에게 미디어 정책 관련 조언을 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방통위는 방송 관련 일부 기능을 미래부에 이관했지만, 여전히 여야 추천 인사들이 방송정책을 담당하다 보니 정치적 쟁점이 끊이지 않는 곳이다.

따라서 박 대통령은 4선의 이 내정자를 임명해 여야 상임위원 간 논쟁을 조율하는 역할을 맡긴 것으로 풀이된다.

◇ '관료통' 1차관…'거대 신생조직' 미래부 안정 주력 = 또, 이날 미래부 제1차관으로는 이상목 과학기술단체 총연합회 사무총장, 2차관으로는 윤종록 연세대 융합기술대학 글로벌융합기술학부 교수가 내정됐다.

1차관을 맡게 된 이 내정자는 과학기술 관련 주요 관직을 두루 거친 관료 출신이다.

이 내정자는 충북 출신으로 경복고와 연세대 토목공학과를 나와 기술고시(13회)를 통해 지난 1980년 과학기술처 대덕단지관리소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과학기술처 인력개발과장을 비롯해 과학기술부 과학기술정책실 종합조정과장과 공보관, 기초연구국,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기술정책실장 등을 역임했다.

이번 정권에서 새로 생긴 미래부는 기존의 방통위와 지식경제부, 행정안전부, 문화체육관광부의 일부 부서가 통합된 거대 부처인 만큼, 조직 안정이 시급한 상황이다.

특히 미래부 장관과 2차관이 주로 학계와 민간 부문에서 경력을 쌓은 인사인 만큼, 관료통인 이 내정자는 미래부의 조직관리와 정책조율 등을 맡을 것으로 예상된다.

◇ '창조경제 전도사' 2차관, ICT 업무 '실세' = 2차관에 임명될 윤 내정자는 '창조경제 전도사'로 불릴만한 ICT 전문가다.

윤 내정자는 전남 강진 출신으로 광주고와 항공대 항공통신공학과를 나와 기술고시(15회)에 합격해 옛 체신부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그러나 지난 1983년 한국통신연수원으로 자리를 옮기고 나서 25년 넘게 통신기업인 KT에서 근무했다.

특히 윤 내정자는 KT에서 '미래 먹거리' 사업과 관련된 분야에서 주로 경력을 쌓았다. 실제로 지난 2001년 e-Biz 사업본부장 상무보를 시작으로 마케팅기획 본부장, 신사업기획본부 본부장, R&D부문 부문장 겸 인프라연구소 소장 등을 거쳤다.

또, 지난 2009년에는 미국 벨연구소 특임연구원으로 일하며 김종훈 전 미래부 장관 후보자와도 인연을 맺기도 했다.

이런 경력 덕분에 윤 내정자는 박근혜 정부가 강조하는 '창조경제'의 전도사로 꼽힌다.

실제로 윤 내정자는 지난 2009년 KT를 나오고 나서 '호모디지쿠스로 진화하라'는 책을 통해 "정보기술이 미래사회와 경제 시스템을 바꿔놓을 것"이라고 역설하며 디지털 신인류인 '호모디지쿠스'로 사는 법을 제시했다.

윤 내정자는 최근 청와대 참모 등을 대상으로 한 특강에서도 창조경제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이스라엘의 '후츠파(chutzpah) 정신'을 창조경제에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후츠파'는 대담함과 뻔뻔함, 놀라움 등을 뜻하는 것으로 누구든지 아이디어를 내고 토론하는 과정에서 생각의 융합을 통해 도전하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지론이다.

실제로 윤 내정자는 새누리당 국민행복추진위원회 창의산업추진단과 대통령직인수위 교육과학분과 전문위원 등을 지내며 박 대통령에게 창조경제 개념 등을 전파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윤 내정자가 '창조경제'의 핵심 브레인인 만큼 앞으로 '실세 차관'으로 기존 각 부처에서 미래부로 모인 ICT 관련 정책을 총괄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윤 차관은 사실상 업계 출신에 가까워 현장에 맞는 정책수립에 상당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결국 학자 출신인 장관이 큰 틀의 방향을 설정하면, 관료 출신인 1차관이 조직을 안정시키고 민간 출신이 2차관이 실무를 이끄는 형태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yujang@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