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남승표 기자 = 50조원에 이르는 부동산 간접투자자금이 임대주택시장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표준임대료 등 수익성을 제한하는 규제가 개선되고 임차인 관리를 전담할 수 있는 기업형 주택관리전문회사가 뒷받침돼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서민석 코람코자산신탁 이사는 26일 연합인포맥스가 주최한 '글로벌 저금리시대의 자산운용'이라는 세미나에서 "현재 리츠와 펀드 등을 통해 운영되는 국내 부동산 간접투자 자금 규모는 50조원"이라며 "막대한 자금을 받아 줄 수 있는 투자대상으로 임대주택이 주목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 이사는 "오피스나 대형리테일은 수익률 하락과 물건 부족으로 투자 비중이 줄고 있다"며 "주택가격 안정화로 임대수익에 대한 관심이 늘고 전세가격 상승으로 월세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점이 임대주택을 주목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하지만, 임대주택에 대한 본격적인 투자가 이뤄지려면 수익률을 제한하는 임대료 규정과 임차인 문제를 해결할 기업형 주택관리회사가 필요하다는 단서가 붙었다.

임대주택에 대한 사업성을 분석한 결과 공공임대는 연 3.38%, 민간임대는 연 5.48%로 나타나 적정 목표수익률인 8%에 모두 못 미쳤기 때문이다.

특히 국민주택기금의 지원을 받으면 적용되는 표준임대료는 시장임대료의 60%에 불과해 공공임대주택의 수익성을 더 낮추는 원인으로 분석됐다.

이 외에도 우량 임차인을 장기 유치해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할 수 있는 기업형 주택관리회사가 없는 점도 간접투자자금 진입의 구조적 장벽으로 지목됐다.

서민석 이사는 "수익성 개선과 사업구조개선이 함께 이뤄진다면 미국, 일본과 마찬가지로 국내에도 임대주택에 대한 간접투자가 활성화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기금 등 기관들의 투자의사에 대해서는 충분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발표 뒤 이어진 질의응답에서 "고평가된 오피스 가격으로는 기관의 수익률을 보장하기 어렵고 호텔은 변동성이 워낙 크다"며 "마지막으로 남는 것은 필수 시설인 임대주택"이라고 말했다.

이어 "표준임대료 규정의 개정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본다"며 "남는 것은 기관들이 투자할 수 있도록 책임임대차 구조가 만들어 지는 것"이라고 답변했다.

spna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