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규창 기자 = 대우조선해양과 대한생명, 교보생명 지분 매각이 줄줄이 예정돼 있으나 난항이 예상되고 있다.

경영권이 담보되지 않은 지분인데다 단순 투자 가치에 대해서도 논란이 분분하다. 적잖은 비용을 들여가며 인수하겠다고 나설 곳이 있을지 매각 측도 자신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대우조선 지분 매각은 블럭딜(?) = 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는 대우조선 지분(19.1%) 매각을 위해 지난달에 선정한 모간스탠리-신한금융투자와 조만간 자문사 계약을 맺을 예정이다.

대우조선 지분 31.3%를 보유한 산업은행과 공동으로 매각하지 못하는 캠코는 당초 자문사 선정시 '블럭딜이 될 경우 수수료를 5분의 1 수준으로 한다'는 조항을 넣었다. 일괄적으로 지분을 매입할 곳이 나타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한 것이다.

대우조선 주가나 조선업황을 고려해 경영권 딜의 성공도 확신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지분을 쉽게 매각할 수 있을지 의문이란 게 관련업계의 반응이다.

더군다나 대우조선 노조와 경남지역 야권, 민주노총 등이 참여한 대책위원회는 대우조선의 국민기업화를 요구하며 분리 매각과 전문경영진 체제 유지 등을 조건으로 내걸었다. 해외 및 투기자본에 매각하는 것도 반대했다.

지역 여론을 고려하면 인수후보 폭이 더 좁아진다. 더군다나 증권업계는 올해 대우조선의 실적 둔화를 예상하고 있다. 연합인포맥스 컨센서스(화면 8031)에서 최근 1개월간 전망보고서를 집계하면 대우조선 영업이익은 지난해 1조2천억원 내외(추정)에서 7천억원대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IB 관계자는 "현재 시가총액으로만 계산해도 1조원이 넘는 가격인데 조선업황에 대한 우려를 고려할 때 경영권도 없는 지분에 대해 선뜻 인수자가 나타날지 의문"이라며 "매각된다고 해도 블럭딜 형태가 가장 유력하다"고 예상했다.

◇대한생명 M&A가 변수되나 = 지난해 말 공적자금관리위원회 매각소위원회는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대한생명 지분(24.8%) 매각을 논의했다. 그러나 뚜렷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보류했다.

당시 회의에서는 매각할 여건이 되는지만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만큼 매각 성공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뜻이다.

한화건설이 24.9%, ㈜한화가 21.7%를 보유하고 있어 예보는 2대 주주다. 역시 경영권이 담보되지 않는 지분인 셈이다. 그러나 현재 시총으로만 봐도 1조6천억원이 넘는 적잖은 규모다.

이런 와중에 대한생명이 동양생명 인수전에 나섰다. 만약 대한생명이 동양생명을 인수하게 되면 자금유출과 함께 단기적으로 주가가 떨어질 수 있다. 양사 시너지가 분명치 않으면 지분을 팔아야 하는 예보에게도 악재다.

대한생명은 또 ING생명 인수 후보로도 거론되고 있다.

예보가 2대 주주로 대한생명의 M&A 행보에 제동을 걸 가능성도 충분하다.

보험권 관계자는 "만약 대한생명이 금융지주들까지 관심을 보이는 ING생명 인수전까지 나선다면 대한생명 주가 변동성이 훨씬 커질 것"이라며 "이렇게 되면 예보로서는 대한생명 지분 매각에 더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교보생명 지분 매각..상장 희망이 있어야 = 캠코는 교보생명 지분(9.9%) 매각을 위한 실사에 나설 예정이다. 교보생명에 실사 협조 등을 구해야 하기 때문에 4월에나 공고될 가능성이 크다.

캠코는 지난해 말 삼성증권-바클레이즈 컨소시엄을 매각 자문사로 선정한 바 있다.

교보생명 지분 24%를 보유한 대우인터내셔널도 우리투자증권과 맥쿼리를 자문사로 정하고 매각 시기 등을 고민하고 있다.

그러나 특정 기업이나 연기금, 사모투자펀드(PEF)가 캠코와 대우인터 지분을 모두 인수한다고 해도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의 지분(33.6%) 및 우호지분을 넘어서지 못한다.

결국, 교보생명 상장을 보고 지분 투자에 나서야 한다. 장외 시세를 고려하면 캠코 보유지분 가치는 5천억원 가량이다.

그러나 교보생명은 여전히 상장을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일각에서는 최근 생보사 M&A로 교보생명의 시장 입지가 위축될 가능성도 제기한다. 만약 대한생명이 동양생명을 인수하면 자산을 80조까지 키울 수 있고, 64조원 정도인 교보생명은 따라가기가 버거워진다. 금융지주들의 생보사업 확대 움직임도 교보생명으로서는 달갑지 않다.

외국계 IB 관계자는 "교보생명이 상장 시기를 어떻게 잡느냐에 따라 인수후보군으로 거론되는 연기금, PEF가 인수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며 "상장 시기가 너무 늦어지면 제한된 기간에 자금을 운용하는 투자사들이 나중에 엑시트에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scoop21@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