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우리나라에서 대기업 기반없이 10년간 주가 상승 1천% 이상을 이룬 기업은 딱 3곳이다. NHN과 엔씨소프트, 그리고 셀트리온.'

뒤집어 말하면 대부분 기업이 자생 기술과 자본만으로 출발해서 성공하기가 그만큼 힘들다는 얘기다.

지난 16일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의 기자 회견은 소기업이 국제적 기업으로 성장하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토로하는 자리였다. 지난 2년간 이어진 공매도 세력의 끊임없는 공격과 금융당국의 '수수방관'에 넌덜머리가 나서 자신의 지분을 외국계 자본에 매각하겠단 것이었다.

코스닥 시총 1위의 헬스케어기업인 셀트리온의 주인이 외국 자본으로 바뀌는 기로에 서게됐다.

기업의 활동에 당국이 개입해야 할 정당성이나 정도에 대한 이견은 있겠지만, 서 회장의 주장대로라면 지난 2년간 셀트리온을 인수하기 위한 모종의 음모와 투기적인 세력들의 공격이 회사의 앞길을 막았고, 당국은 부당한 공격에 대해 방관했다. 창업자 입장에서는 회사를 빼앗으려는 측이나 공매도로 이득을 보려는 투기세력과 `고독한 싸움'을 벌였던 것이다.

박근혜 정부 대선 공약인 `창조경제'의 핵심은 기업의 창업과 성공적인 정착이지만 결코 만만치 않은 게 현실이다. 벤처나 중소기업의 창업과 성장이 공약으로 한번에 해결될 일은 아니기 때문이다.

기업은 창업후 정착까지 갖은 장애물을 만나게된다. 그래서 `벤처' 아닌가.

중소기업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미국의 창업 생존율도 10~20%에 불과하고, 한국에서도 2004~2009년 신규 사업체의 1년 생존율은 약 70% 내외, 2년 생존율은 약 55% 내외, 3년 생존율은 약 45% 내외로 조사됐다.

잠재력 있는 기업을 육성해서 국가 경제를 이끄는 주축으로 지원하자는 슬로건은 이미 정부의 주요 과제가 된 지 오래다. 하지만 초기 지원과 단계적 육성, 글로벌 경쟁력 강화 지원에 대해 효과적인 지원방안이 있어왔는지에 대한 중간 점검은 꼭 필요하다.

서 회장의 주장대로라면 회사 컨텐츠 자체 경쟁력 강화 외에도 자본시장 내부에서 금융과 연관한 당국의 지원이 있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올만 하다.

물론 창업자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지원 차원보다는 한국 산업계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또 다른 측면의 정부 정책이 필요해 보인다.

공매도 세력이 회사의 주가를 떨어뜨리고 기존 주주들을 흔들어 놓고, 지분 빼앗기를 거듭하고, 결국 대주주이자 창업주는 외국계 자본에 회사를 자기 지분을 넘기는 사정을 보면 사정이야 어쨌건 전체 산업계 차원에서 안타까운 일이다.

증권 당국이 책임을 져야 한다는 당위는 없더라도, 대승적 차원에서 부조리한 거래를 방지키 위한 보완책을 마련하고 해당 기업에게 도움의 손길을 건냈다면 한국 대표 토종 생명공학회사가 국내 바이오산업의 새 지평을 온전히 열게됐을지도 모를 일이다.

(산업증권부장)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