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남승표 기자 = 대형건설사의 외상거래 증가가 하도급사 부실과 맞물려 주목된다. 건설하도급의 수직적 거래구조를 고려할 때, 대형사의 이 같은 행태는 자사의 실적과 현금 유동성 악화를 막는 묘책이지만 하도급사에는 부실을 부르는 도화선으로 파악된다.

1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시공능력평가총액 기준 10대 대형건설사(두산중공업 제외)의 매입채무는 2010년 이후 10조 원을 넘어섰다.

이들의 매입채무액은 2008년 8조 7천32억원, 2009년 9조 4천710억원에서 2010년 10조 6천595억원으로 12.5%나 증가했다. 이후에도 2011년 10조 7천899억원, 2012년 11조 476억원으로 증가세를 이어갔다.

매입채무는 건설사가 물품 등을 사들이고 이 물품을 공급한 기업에 일정기간이 지나고 나서 그 대가를 지급하는 일종의 외상거래이다. 매입채무 증가는 거래 기업의 자금 부담으로 전이된다.

여기에 2011년까지 2조원대에 머물던 이들 건설사의 미지급금도 작년에는 3조 1천500억원으로 48%나 증가해 하도급 업체의 자금난을 더했다.

별도 기준으로 살펴본 미지급금은 삼성물산 8천258억원, 대우건설 6천758억원, 현대건설 5천797억원, 대림산업 5천206억원 순이었다.

건설업계의 수직적 거래 구조를 고려할 때, 대형사의 외상거래 증가는 하도급 업체의 부실을 부르는 도화선으로 파악된다.

실제로 전문건설공제조합의 보증손해율 추이를 보면 2008년 100%, 2009년 107%에서 2010년 187%로 두 배나 급등해 이를 방증했다.

한 하도급 건설업계 관계자는 "최근 들어 대형건설사들이 본사 방침을 이유로 대금지급을 늦추는 경향이 있다"며 "이러다 보니 오히려 현장을 많이 가진 중견 하도급 업체들이 자금 부족으로 망하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일부 대형건설사는 공사 품질 등을 이유로 기성금 지급을 늦춘 뒤 임금 체납 등이 발생하면 기다렸다는 듯이 계약을 해지한다"며 "이런 식으로 하도급 보증서를 돌려 수익을 맞춘 뒤 공사를 마무리하는 곳도 있다"고 전했다.

spna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