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규창 기자 = 부실채권시장 발전을 위해서는 대형 전문 자산관리회사(AMC)를 육성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재연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3일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와 금융연구원이 공동 주최한 심포지엄에 주제 발표자로 나서 AMC를 육성해 경쟁을 통한 시장 발전을 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부실채권시장에서 실질적으로 2개 대형 AMC가 가격과 수량을 통제할 수 있는 과점적 시장 구조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유암코(UAMCO)와 우리F&I는 부실채권시장 70%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반면, 신용보증기금과 기술신용보증기금, 지역신용보증기금 등 공적 보증기관의 부실채권은 계속 늘어나는 추세다. 게다가 공적 보증기관의 보증대출에 대해서는 채무조정이 어렵다.

따라서 대형 AMC를 육성해야 한다는 게 이 위원의 주장이다.

그는 "부실채권시장이 성숙할 때까지 공적 AMC가 민간 대형 AMC와 경쟁할 수 있도록 한시적으로 허용해야 한다"며 "이런 가운데 대규모 투자자를 육성하고 중소펀드의 대형화를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공공 부실채권의 효율적 정리를 위해 1안으로 회생가능기업 부실채권 매각을 통한 경제적 재기 지원, 2안으로 공적 보증기관이 보유한 부실채권 관리 일원화 등을 제시했다.

1안의 경우 회생가능성이 있는 부실 중소기업 채권을 조기에 매각해 채무조정으로 회생할 기회를 제공하고 신보에 구상권 매각을 허용한다는 내용이다.

이는 일시적 경영상 어려움을 겪는 부실 중소기업에 회생 기회를 주고 기존 보증기관의 추심조직을 유지하는 장점을 갖고 있으나 해당 중소기업을 선정하는 작업과 부실채권 가격을 산정하기가 쉽지 않다는 단점도 안고 있다.

2안은 공적 보증기관의 개별 채권관리로 사회적 비용을 줄이고 잔여이익 발생시 공유도 할 수 있다. 부실채권 결집으로 다중채무자의 채무조정과 신용회복도 지원할 수 있다.

그는 "공적 보증기관 부실채권 관리를 일원화하면 공공부실자산 관리에 효율성을 기하고 회생가능 채무자의 재기를 지원할 수 있다"며 "또 매각대상 채권을 선정하거나 가격을 설정하는 작업이 필요없다"고 설명했다. 다만, 기존 보증기관 내 추심인력이 반발한다는 단점도 이 위원은 언급했다.

scoop21@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