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유럽, 특히 재정 부실을 겪는 남부 유럽 사람들은 정부의 긴축 정책에 고통을 호소하면서도 여전히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에 남고자 한다. 최근 퓨 리서치 센터의 조사를 보면 스페인, 그리스, 이탈리아, 프랑스인들의 60% 이상은 유로존에 남길 원한다. 유럽연합(EU)을 향한 환멸이 늘고 있지만 유로존에 대한 지지도는 여전히 높다.

유럽개혁센터의 사이먼 틸포드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유로존을 탈퇴했을 때의 심각성이 유로존 탈퇴 여론 지지율이 오르는 것을 막았다"고 말했다. 탈퇴 여파를 고려한 유럽 사람들이 긴축을 견디기로 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재정이 바닥난 상황에서 성장 동력 없이 허리띠를 졸라매야 하는 독일 주도의 위기 해법이 계속되면 유럽은 더욱 곤궁해지고 사람들의 인내심이 한계에 도달할 공산이 크다. 골드만삭스는 재정 부실국이 긴축을 완수하는데 10년이 넘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아르헨티나의 사례를 들며 여론의 지지가 낮고 거센 후폭풍을 유발하더라도 EU 정책 결정자들이 회원국의 유로존 탈퇴를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990년대 아르헨티나는 자국 통화의 미 달러 고정환율제를 시행했다. 이는 하이퍼인플레이션을 막았지만 임금과 기업 비용을 높인 달러화 차입을 크게 늘렸다. 당시 달러화 강세의 영향으로 세계 모든 주요국가의 화폐가 상당폭으로 평가절하됐는데 아르헨티나는 페소화와 달러화의 1:1 고정환율을 고수했다. 그 결과 외환위기가 심화했고 아르헨티나는 결국 고정환율제를 포기하고 페소화 평가절하를 단행했다.

신문은 아르헨티나가 유럽의 모범이 아니라 반면교사라면서 고정환율제를 폐지하던 2001년에도 아르헨티나 재무장관은 달러화 페그제가 무너질 수 없는 영구적인 장치라고 말했다고 지적했다. (국제경제부 이효지 기자)

hjlee2@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