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장순환 기자 = 정부가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방안에 본격적으로 나서면서 우리 경제 변화모습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정부는 창조경제를 통해 국민의 창의적 아이디어가 과학기술·ICT와 결합해 창업과 신산업 및 신시장 창출로 연결되고, 좋은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했다.

아이디어만 있으면 손쉽게 창업할 수 있는 생태계가 조성돼 창업국가 대한민국이 실현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실제 창조경제 세부 실현 방안에 따르면 엔젤투자 활성화, 클라우드 펀딩 제도화, 미래창조펀드 조성 등으로 벤처ㆍ중소기업이 투자받을 수 있는 펀드가 늘어난다.

이와 함께 예비 창업자를 위한 특례 보증, 맞춤형 보증 등으로 자신의 상황에 맞는 보증을 부여받게 된다.

또한, 주식시장(코스닥, 코넥스 등), M&A 관련 규제 완화를 통해 벤처 캐피탈 등 민간 투자자들이 투자금 회수에 대한 두려움 없이 벤처·중소기업에 대한 과감한 투자를 할 수 있게 된다.

대학과 정부출연연구기관은 공동연구법인 설립 확대로 창업의 요람으로 탈바꿈하게 된다. 정부는 R&D 예산 중 기초연구 비중을 2017년까지 40%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또한, 협소한 국내시장에 만족하지 않고 시작부터 글로벌 기업을 목표로 창업하고 성장할 수 있게 벤처, 중소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한다.

정부는 글로벌 K-스타트업 프로그램 통해 2017년까지 300개의 글로벌 전문기업을 만들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와함께 창조경제 비타민 프로젝트 과제를 발굴ㆍ추진하고 2017년까지 기술기반 융합을 통한 신사업 창출 유망 과제 10개를 발굴 및 지원한다.

비타민 프로젝트는 생존에 필수성분은 아니나, 없으면 활력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외부에서 흡수하여야만 하는 비타민의 특성을 과학기술과 ICT 접목의 상징으로 정했다는 설명이다.

농업(Agriculture), 문화(Culture), 식품(Food), 환경(Environment), 정부(Government) 등의 앞글자를 따 이를 창조경제 비타민A, C, F, G로 명명했다. 이에 분야별로 해당 산업의 활력 및 경쟁력을 높이고 국민 편익 증진 및 사회문제 해결이 가능한 과제를 발굴해 추진한다.

또한, 능력중심의 채용문화 정착도 추구한다.

모든 직종을 대상으로 하는 국가직무능력표준을 개발해 스펙이 아닌 능력을 채용의 기준으로 삼겠다는 전략이다.

정부 스스로도 '정부 3.0'으로 질 높은 행정서비스를 구현하고 공공정보 개방으로 국민의 아이디어를 사업화한다.

공공기관의 데이터가 국민의 아이디어를 만나 비즈니스 창출로 연결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이상목 미래창조과학부 1차관은 "정부의 지원을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정부는 민간 중심의 창조경제를 위해 간접적인 지원과 투자를 지속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shjang@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