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장용욱 기자 = 최근 들어 '위기설'에 시달리던 삼성전자가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의 신용등급 상향 조치로 한숨 돌리게 됐다.

이번 등급 상향을 계기로 휴대전화 사업으로 쏠린 실적 구조에 대한 우려가 다소 진정되길 기대하는 눈치다.



◇ 삼성전자 등급 상향, 국가신용등급 영향 받은 듯 = S&P는 지난 8일 삼성전자의 장기 신용등급을 'A'에서 'A+(안정적)'로 한 단계 상향조정한다고 밝혔다. 이 등급은 전체에서 다섯 번째로 높은 등급이다.

이로써 삼성전자의 신용등급은 한국의 신용등급과 같아졌다. 특히 한국 신용등급이 오른 후에 삼성전자 등급도 같은 수준으로 오르는 추세도 이어지게 됐다.

실제로 S&P는 한국의 신용등급을 지난 2005년 7월 'A'로 상향한 후 7년 2개월 만인 작년 9월 'A+'로 다시 끌어올렸다. 삼성전자의 신용등급도 한국 신용등급이 'A'로 상향 된 지 6개월 만인 지난 2006년 1월 'A'로 올랐고, 이번에도 국가 신용등급이 'A+'로 오른 지 11개월 만에 같은 등급이 된 것이다.

이 때문에 삼성전자의 등급 상향 조치는 한국의 신용등급이 오른 것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기업 신용등급을 평가할 때 국가 신용등급은 중요한 기준 중 하나가 된다. 국가의 경제정책과 여건 등이 그 나라의 기업 경영에도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국가 신용등급이 상향 되면 해당 국가의 기업 등급도 오를 수 있는 여지가 생긴다.

다만, 아주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기업의 등급이 소속 국가의 등급을 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S&P는 국제 신평사 중 제일 보수적인 곳이라 기업의 신용을 평가할 때 소속 국가의 상황을 많이 고려하는 편"이라며 "따라서 한국 신용등급 상향 조치가 이번에 삼성전자 등급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 '실적쏠림' 우려 일부 해소…'과제'도 남아 = 물론 삼성전자가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국가 신용등급과 같은 평가를 받게 됐다는 점은 S&P가 삼성전자 자체에 대해서도 높게 평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S&P는 삼성전자에 대해 "양호한 현금 흐름과 보수적인 재무정책을 기반으로 앞으로 24개월간 견고한 재무지표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평가했다.

특히 삼성전자로서는 이번 등급 상향 조치를 통해 그동안 외국계 IB 등을 중심으로 제기된 '위기론'을 다소 진정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폰을 앞세워 작년부터 매 분기 최대실적을 경신하며 승승장구했지만, 한편으로는 '실적 쏠림'에 대한 불안감도 커졌다.

실제로 삼성전자에서 휴대전화 사업을 담당하는 IM(IT&모바일) 사업부의 영업익이 전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2010년 26.1%에서 2011년 51.9%, 작년 66.9%로 커졌고, 올해 들어서는 70% 수준에 육박하게 됐다.

그러나 최근 들어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세가 눈에 띄게 꺾이면서 삼성전자의 이런 실적 구조에 대한 우려감이 커지기 시작했다.

지난 6월부터 JP모건을 비롯한 모건스탠리, 신용평가사 피치 등 외국계 IB들은 휴대전화 사업이 부진해지면서 승승장구하던 삼성전자가 흔들릴 수 있다고 경고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번에 S&P는 이와 다른 전망을 내놓으며 삼성전자에 힘을 실어줬다.

S&P는 "앞으로 2년 안에 스마트폰 부문의 경쟁이 심화되고 판매가격이 하락하는 등 경영환경이 악화될 수 있다"며 "그렇다 하더라도 다각화된 사업 포트폴리오가 받쳐줄 것"이라고 판단했다.

특히 S&P는 "산업 내 변동성과 경쟁심화에도 삼성전자가 보유한 우수한 시장입지와 다각화된 사업 포트폴리오, 기술적 리더십을 바탕으로 앞으로 1~2년간 견조한 영업실적을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A+' 등급을 받은 것은 그만큼 실적과 재무 안정성을 인정받은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여전히 과제도 남아있다.

이번 등급 상향에도 삼성전자의 등급은 경쟁 관계에 있는 애플('AA+')보다 여전히 세 단계 아래다.

S&P는 삼성전자의 남아있는 불안요인에 대해 "여전히 삼성그룹의 복잡한 소유구조와 비주력 계열사를 지원할 가능성 등 잠재적 위험 요인들이 있다"고 지적했다.

yujang@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