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위, 해운사 유동성 지원 차원 검토

금융위, 시중은행, 해운사 등과 협의



(서울=연합인포맥스) 이규창 기자 =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자체 고유계정으로 내년 말 운용이 끝나는 구조조정기금을 대신해 선박펀드를 인수할 전망이다.

9일 공적자금관리위원회와 해운업계 등에 따르면 공자위는 해운업황 부진에 따라 유동성 위기에 몰린 해운사를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 같은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캠코가 운용하는 구조조정기금은 내년 말 종료된다. 이는 기금이 투입된 선박펀드에 선박을 매각한 해운사가 내년 말까지 해당 선박을 되사야 한다는 뜻이다.(6월5일 오후 3시30분에 연합인포맥스가 송고한 '<'구조조정기금 내년 말 종료' 해운사 벌써 시름>' 기사 참조)

그러나 업황이 개선된다고 해도 해운사들이 내년 말까지 선박을 재매입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현금창출력 추이로 봐서는 어림도 없고 자금줄은 막혀 있다. 한진해운이나 현대상선 등 대형사만 주식관련채권 발행으로 겨우 조달할 수 있는 상황이다.

지난 2009년부터 2011년까지 구조조정기금과 금융기관 등이 출자해 설립한 선박펀드가 인수한 선박은 총 33척. 한진해운이 가장 많은 17척을 선박펀드에 넘겼고, 현대상선 4척, 대한해운 4척, 흥아해운 3척, 동아탱커 3척, 대보인터내셔널쉬핑 1척, 장금마리타임 1척 등이다.

펀드의 선박 매입은 '세일 앤 리스백(Sale & Leaseback)' 방식으로 이뤄졌다. 해운사가 선박을 운항하면서 생기는 수익으로 리스료(용선료)를 내다가 계약이 끝나는 시기에 선박을 판 가격에 되사는 구조다.

그동안 선박을 넘긴 해운사들은 기금과 금융기관 출자금의 6~8%를 매년 용선료로 내왔다. 중간에 선박을 되사간 사례는 없었다.

선박펀드가 매입한 시기는 다르지만, 계약은 내년 말 구조조정기금 운용 종료와 함께 모두 일괄적으로 끝난다.

33척의 매입가는 1조599억원이고 이 가운데 4천666억원이 기금에서 나갔다. 선박을 다시 가져오려면 해운사당 작게는 2천억원대에서 많게는 5천억원대의 자금이 필요하다. 대형 해운사도 한 푼이 아쉬운 마당에 결코 작은 규모가 아니다.

따라서 공자위가 캠코 고유계정으로 구조조정기금 투입분을 메우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이다. 물론, 공사법 개정 검토와 예산 문제로 금융위원회와 협의를 거쳐야 한다.

또, 선박펀드가 온전히 유지되려면 구조조정기금 외에 출자한 금융기관(주로 시중은행)과 롤오버에 대한 협의도 진행해야 한다.

공자위 관계자는 "내년 해운 경기나 개별 선사 상황을 봐야 하기 때문에 여러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캠코 고유계정으로 인수한다고 해도 금융위와 협의해야 하고 출자한 다른 금융기관과도 논의해야 된다"고 말했다.

해운사 관계자는 이에 대해 "내년에도 크게 좋아질 것 같지는 않다"며 "펀딩이 어려운데 그나마 선박펀드를 롤오버 해준다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른 관계자는 "해운업은 산업 전후방효과가 큰 국가 기간산업"이라며 "세계 각국이 해운업 보호에 나서고 있는데 계속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scoop21@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