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남승표 기자 = 전세 대란의 원인으로 지목될 만큼 월세 비중이 확대됐지만, 임대주택에 대한 민간투자는 여전히 저조해 그 배경이 주목된다.

전문가들은 임대료와 요구수익률의 격차를 극복하고 민간 투자자금이 임대주택시장에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발사업병행, 세제 지원 등 사업 여건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22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들어 7월까지 월세 거래는 모두 32만 5천80건으로 전체 전·월세 거래의 38.9%를 차지했다. 특히 아파트는 30.4%로 거래가 집계된 2011년 이후 처음으로 30%를 넘었다.

이처럼 월세 비중이 높아지며 수익성 여건이 호전되고 있지만 민간 자본의 임대주택투자는 여전히 미흡하다. 적정 임대료에 대한 입장 차이 때문이다.

부동산 114에 따르면 서울의 전용면적 60~85㎡ 아파트의 평균 월세는 96만 원. 반면, 자산운용업계에서 생각하는 임대료는 해당 주택의 시가를 3억 원으로 낮춰도 최소 160만 원으로 평균 월세의 1.6배에 달한다.

도시근로자 중간가구의 평균 월소득이 400만 원 수준인 점을 고려하면, 세입자에게는 평균 월세도 부담스러운 형편이어서 자산운용업계에서 생각하는 최저임대료를 맞추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기존 임대주택사업자들도 장기임대주택 공급보다는 분양전환 임대주택에 주력하고 있어 임대주택 재고 확보에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

실제로 국내 임대주택사업 대표주자인 부영주택의 작년 재무제표를 보면, 매출액 1조 5천700여억 원 중 분양수익 1조 4천500억 원, 임대수익 451억 원으로 임대수익 비중은 아주 낮다.

전문가들은 민간에서도 장기임대주택사업자가 나오려면 토지 취득단계에서부터 세제 감면이나 원가취득 등 혜택을 부여하는 한편, 임대료 수준을 낮출 수 있도록 개발사업이나 중개업 등을 병행하도록 허용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현석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외국의 기업형 임대사업자를 보면 주택개발사업, 중개업, 자본투자업 등을 병행하고 있다"며 "개인 거래 중심의 주택시장에 기업형 투자가 진입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spna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