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김지연 기자 = 인도와 인도네시아 등 금융 위기를 겪는 신흥국들의 통화가치를 유지하려면 '자본통제'를 실시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고 미국 경제 전문매체 CNBC가 28일(현지시간) 전했다.

자본 통제는 초단기 투기성 자본의 거래나 수출입 무역에서 외화 자산의 이동을 제한하는 조치를 말한다. 자본통제를 시행하면 투기성 자본 유입이 억제돼 환율이 안정되지만, 투자와 생산이 위축되고 물가가 오르는 등 문제도 발생한다.

보리스 스코로스버그 뉴욕 BK 애셋 매니지먼의 매니징 디렉터는 "이전에 태국과 필리핀, 한국에서 이와 비슷한 상황을 봤다"면서 "자금이 대규모로 이탈할 때 이를 조절하려면 자본통제를 시행하는 것밖에 방법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전과 달리 금융위기를 겪는 신흥국들이 외화보유액을 충분히 갖고 있다면서도 상황이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고 부연했다.

실제 인도의 루피화는 이날 달러화 대비 3% 넘게 하락한 10,950을 기록해 4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루피화의 가치는 올해 들어 25% 떨어졌고, 인도 주식가격은 이번 달에만 7% 내렸다.

젠스 노르드빅 노무라 증권의 글로벌 외환 대표도 "지난 6월에 신흥국에서 처음으로 자금이 빠지기 시작했을 때는 국가가 개입하기에 너무 일렀지만, 이제는 공격적인 대책을 세워야 할 때가 왔다"고 진단했다.

그러나 BNP파리바의 미르자 바이그 외환 전략가는 유럽은행(ECB)의 마리오 드라기 총재처럼 "환율을 지키기 위해 뭐든 하겠다"는 태도는 오히려 국가 신용 등급의 하락을 가져올 우려가 있다고 경고했다.

jyki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