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남승표 기자 = 수도권 전월세시장 불안이 2020년까지 장기화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금융지원으로는 시장 안정에 한계가 있어 공공임대 물량확보와 기업형 임대사업자 확대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뒤따랐다.

주택산업연구원(원장 남희용)은 4일 '수도권 주택시장 전망과 대응' 보고서에서 "최근의 매매-임차시장 상황이 유지된다면 수도권의 전세난이 2020년까지 장기화될 우려가 있다"고 전망했다.

이어 "과거 수도권 전세난 시기에는 전세가율 55% 도달 이후 매매전환이 나타나며 시장이 안정됐다"며 "최근 전세난은 임차시장의 구조적 변화와 매매거래위축이 동시에 진행되고 있어 전세가율 100%대 진입이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주산연은 과거 전세난은 2~3년간 지속된 데 반해 이번 수도권 전세난은 이미 4년차(40개월)에 진입했으며 연평균 매매가격은 -0.5%, 전세가격은 7.3% 변동하고 있어 2021년에는 전세가율이 100.7%에 도달할 것으로 분석했다.

이 때문에 자가소유비용이 임대비용보다 비싸다는 인식이 확산되며 자가수요는 연평균 52만 호로 정체되는 가운데 임차수요는 연평균 109만 호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주산연은 8.28 대책 등 정부 대응에 대해서는 방향성은 적절하나 지원대상이 한정된 데다 시행지연 등으로 실효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임대공급 확충이 전제되지 않은 상황에서 수요자의 구매·대출여력 확대는 주거불안을 해소하기보다는 지연시켜 임대주택공급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노희순 주산연 책임연구원은 "전월세시장의 반복적인 불안을 피하려면 가계에 의존한 임대주택공급체제에서 탈피해야 한다"며 "공공임대 재고뿐만 아니라 기업형 임대주택시장의 공급비중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spna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