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경제부총리와 금융위원장이 일제히 `경제살리기'의 일환으로 사모펀드(PEF)를 거론해 눈길을 끈다.

지난 24일 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천500억원 규모로 전용 사모펀드를 조성하는 방안을 포함한 중소·중견기업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같은 날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10월 중 사모펀드 개편방안을 내놓는다고 밝혔다.

개편의 목적은 사모펀드가 금융산업의 활력을 제고하는 촉매제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모펀드, 즉 PEF의 액면적 의미는 프라이빗(Private) 자금을 모아서 고수익을 추구하고, 주로 주식과 기업 경영권에 돈을 투입하여 기업 개선을 극대화해 높은 가격에 매각해 이익을 얻는 형태를 갖는다.

금융기관 입장에서는 위험도가 높은 중소기업 대출을 꺼리고, 은행들은 중소기업의 성장성은 도외시 한채 재무상태만 보고 여신을 처리하는 게 상례이다. 현실적으로 중소기업 지원은 금융회사나 기업 모두 불만을 가지고 있는 상황이다. 그래서 사모펀드가 대안으로 등장했다고 볼 수 있다.

사모펀드 투자자는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고, 중소기업은 적기에 자금조달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은행이 예대마진 축소로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중기 사모펀드 새로운 수익모델 창출의 기회도 될 수 있다. 정부도 `중기 지원'이라는 명분도 얻을 수 있다.

최근 기업들의 인수합병(M&A) 시장에서 사모펀드들의 활약이 눈에 띈다.

대표적으로, ING생명을 인수한 MBK파트너스를 비롯해, 웅진식품 매각 본입찰에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한앤컴퍼니, 중소형 딜에서 부상하고 있는 보고펀드 등이다. 대기업의 투자가 위축돼 있을 때 국내 PEF가 점점 트랙레코드를 쌓아가면서 신뢰를 받고 있는 상황이 됐다.

경제 수장들이 그렇기 때문에 사모펀드의 역할을 기대하는 것이지만, 또 한편으론 시장 일각에서는 선결할 과제도 있다고 지적한다.

M&A나 재투자 지원 방안도 필요하지만 기술 벤처를 창업하도록 유인해야 한다는 것이다.

경제의 고른 성장을 위해서는 제조 기술벤처 육성이 필요하며, 단기 회수를 노린 자금보다는 장기 자금이 공급돼야 한다. 또, 대기업의 부당 단가 인하, 기술 탈취에 대한 방안이 먼저 나오면서 기술벤처 창업을 유인해야 한다는 업계의 요구도 동시에 수용돼야 한다.

벤처를 포함한 중소기업에 대한 투자자들의 불신과 정부와 대기업 정책에 대한 믿음이 견고하지 않다면 중견 중소기업들에 대한 획기적인 지원 방안도 효과를 거두지 못할 것이다.

(산업증권부장)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