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금융감독원에 대한 감사원 감사가 강도 높게 진행되고 있다.

통상 감사원이 정부 부처나 기관에 나와 현장 감사에 나설 때 정책 부문은 감사 대상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정책의 고유성과 전문성을 인정해주기 위해서다.

그러나 이번 감사는 기존 감사에 틀에서 벗어나 금감원의 정책 대응 부문까지 다루고 있다.

얼마전 감사원은 금감원에 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이 잘 지켜지고 있는지 따져 볼 필요가 있다며 관련 자료를 요구했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감사원은 각 은행에 전화까지 걸어 관련 자료를 요구해 금감원이 제출한 자료가 맞는지 대조 작업까지 벌였다.

금감원 관계자는 "이런 감사원 감사는 처음이다"며 혀를 내둘렀다.

감사원 관계자는 "금감원이 제출한 자료만 봐서는 모든 게 다 잘되어 있는 거 같아 보인다"며 "그러나 은행권 자료와 비교검토하다 보면 허점이 발견될 수도 있기 때문에 대조작업을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두고 금융권에서는 감사원이 금감원 `손보기'에 나선 것 아니냐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최근 금감원 출신 인사들이 민간 금융단체의 임원으로 이동하면서 감사원의 심기를 건드렸다는 것이 금융권의 해석이다.

금감원 인사들의 금융회사 감사 진출을 제한하다 보니 금감원이 `꼼수'를 부려 이제 단체(협회) 등으로 눈을 돌렸고, 이를 감사원이 못마땅하게 여겨 정책 부문까지 감사의 칼날을 들이대고 있다는 것이다.

저축은행 사태 이후 금감원 출신들은 퇴직 후 5년간 피감기관에 취업할 수 없게 됐다. 그러면서 자연스레 감사원 출신들이 금융권 감사 자리를 독식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이번 금감원에 대한 감사원의 감사 행태는 자기 밥그릇을 챙기기 위한 무리수라는 지적도 있다.

실제로 금감원 인사를 대신해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과 기업은행, 정책금융공사, 우리은행 등 금융 공기업 상당수에는 감사원 출신들이 감사를 맡고 있다.(이성규 기자)

sglee@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