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한재영 기자 = 거래소가 올해부터 KRP(KRX Research Project) 사업에 손을 떼면서 코스닥 상장 기업에 대한 정보비대칭이 가중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4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거래소는 지난 2006년부터 증권사에 일정 자금을 지원하고 투자자들이 코스닥 종목의 정보를 보다 많이 접할 수 있도록 증권사가 분석 보고서를 내도록 하는 KRP사업을 진행해 왔다.

하지만 일각에서 보고서의 실효성에 대해 의문이 꾸준히 제기돼왔다.

정해진 기한 내에 의무적으로 KRP 보고서를 생산해야 하는 애널리스트가 성실하게 분석을 하지 못하게 만드는 환경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된 것이다.

또 '증권사에 돈 주고 만드는 보고서'라는 부정적 인식까지 덧씌워져 거래소는 지난해 끝으로 KRP사업을 전면 중단했다.

거래소 입장에서는 보고서 발간을 큰 틀에서 '시장'에 맡기겠다는 전략이다.

이에 대해 한국기업평가는 KRP사업 중단으로 분석 정보가 부족한 코스닥시장에서의 정보비대칭 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기평에 따르면 지난 2010년 KRP사업 시행 기간에도 불구하고 코스닥 상장 기업 중 분석보고서가 1건도 나오지 않은 기업은 전체 코스닥 업체의 63% 수준이다.

거래소 지원에도 불구하고 정보제공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기업이 과반을 넘는데 KRP 사업마저 중단돼 정보 양극화가 심화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윤희경 한기평 연구원은 "올해부터 KRP가 폐지됨에 따라 중소형 기업에 대한 투자정보 제공 대안이 나와야 한다"면서 "코스닥 시장에 개인 투자자 비율이 높은 점을 감안할 때 전문가의 분석정보가 코스닥 시장에 더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KRP 사업처럼 분석 비용을 평가를 받는 기업이 일부라도 부담하면 보고서의 객관성이 떨어질 수 있다며 공적 기금을 조성해 자금을 충당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거래소는 실효성 논란에 떠밀려 KRP를 중단하기는 했지만 이를 대체할 만한 마땅한 대책은 내놓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거래소 관계자는 "중소기업이 IR을 할 때 플랜카드를 만들어 준다든지 장소를 제공하는 차원의 노력을 하고있다"면서 "기존에 있던 코스닥종합정보센터의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또 "이번 분기서부터 매 분기마다 온라인을 통해 코스닥 기업의 분석 보고서를 제공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기존에 운영하던 방식을 변경, 강화하는 차원"이라고 말했다.

jyha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