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김대도 기자 = 사업지연에 따른 금융비용 증가 등으로 건설사 프로젝트파이낸싱(PF) 우발채무의 절반가량이 손실로 추정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신용평가는 13일 국내 업체들의 예정PF 사업장에 대한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를 담은 '금융비용 증가 및 가격하락 위험에 노출된 예정PF사업' 보고서를 내놓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예정PF사업의 잠재손실은 작년 3.4조원에서 올해 3.7조원으로 증가했다. 이는 사업규모 대비 14.0%, PF우발채무 잔액의 48.3%에 달하는 수준이다. PF잔액 대비 비중은 작년 32.4%에서 올해 48.3%로 급증했다.

예정 사업지를 분양하거나 매각해 예정PF 잠재손실 중 일부는 진행사업으로 전이되거나 현실화됐다. 금융비용 증가(1조원)와 가격하락으로 악화된 사업마진(0.7조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토지비 비중이 높아 금융비용 부담이 큰 수도권에서 예정사업 잠재손실률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의 PF잔액 대비 잠재손실률은 지난 2012년 대체적으로 45% 내외였으나, 올해는 서울과 경기남부를 제외하고는 60%를 상회하고 있다. 반면, 금융비용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은 지방은 잠재손실률이 다소 낮아진 것으로 추정됐다.







아울러 신용등급별로 예정PF 잠재손실을 분석한 결과, PF잔액이 많은 일부 'A'등급 업체들이 PF리스크를 크게 부담하고 있는 것으로 진단됐다.

한신평은 예정 PF잔액이 5천억원 이상이고 자기자본의 30%를 초과하는 업체(a2)를 그외 업체(a1)와 분류했다. 이어 a2군의 예정PF 잠재손실 비중이 자기자본 대비 21%, 상각전 영업이익(EBITDA) 대비 163%에 달해, PF리스크가 집중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a2군의 PF잠재손실에 따른 재무구조 저하 가능성도 큰 것으로 분석됐다. 한신평은 사업장 매각 등으로 잠재손실의 50%만 현실화된다고 가정하더라도 a2군의 자기자본비율(31.2%)과 PF손실을 반영한 수정자기자본비율(28.9%) 간의 격차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배혁진 한신평 수석애널리스트는 "최근 예정PF 사업 정리속도로는 가격하락과 금융비용 부담으로 인한 잠재손실 확대를 막지 못하고 있다"며 "예정PF 사업 잠재손실 중 상당 부분이 일시에 현실화되거나 해외사업 리스크 등의 다른 위험과 결합되는 경우에는 건설사 자기자본에 위협요인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ddki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