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호 기자 = 미래창조과학부가 5세대 이동통신에 1조6천억원을 투자한다.

미래부는 22일 개최된 제3차 경제관계장관회의를 통해 ICT 산업과 타 산업을 혁신하기 위한 '미래 이동통신 산업발전전략(Creative 5G Mobile Strategy)'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5G 기술은 사람ㆍ사물ㆍ정보가 언제 어디서나 연결될 수 있도록 개인당 1Gbps급 전송속도와 빠른 접속속도 등을 통해 수많은 주변 기기들과 소통 가능한 기술을 뜻한다.

미래부는 추진전략을 통해 2020년까지 단말시장 1위와 장비시장 점유율 20%, 국제 표준특허 경쟁력 1위, 일자리 1만6천개 창출을 목표로 7년간 정부ㆍ민간 공동으로 약 1조6천억원의 투자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어 2020년부터 2026년까지 5G 기기ㆍ장비의 수출과 내수를 통해 총 331조원의 매출과 국내 통신서비스부문에서 68조원의 시장 창출이 가능할 것이라는 게 미래부의 설명이다.

미래부는 5G 기술이 현재 최신 기술인 4세대 이동통신(LTE)보다 1천배 빠른 차세대 통신기술로서 2020년에 상용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5G 기술은 ICT 산업과 타 산업 전반을 혁신하는 창조경제의 핵심 인프라로 최근 유럽과 중국, 미국 등에서 관련 기술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으며, 수년 내 치열한 기술 경쟁단계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미래부는 미래 이동통신 산업발전전략을 통해 5G 시대를 준비한다.

추진전략은 '세상에서 가장 앞선 5세대 이동통신 강국 실현'을 비전으로 정하고, 5G 시장 조기 활성화(Market Activator)와 5G 표준화 글로벌 공조(Standard Frontier), 도전적 R&D 추진(Technology Leader), 스마트 신(新)생태계 조성(Ecosystem Renovator) 등 '5G MASTER 전략'을 추진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미래부의 5G MASTER 전략, 자료제공: 미래창조과학부>

우선 미래 SNS와 모바일 입체영상 등 핵심서비스를 발굴하고 상용화를 추진한다.

또, 유럽과 중국 등과의 기술교류로 표준화를 위한 글로벌 협력을 강화키로 했다.

2020년까지 국제 표준특허 경쟁력 1위를 목표로 관련 기술 개발과 함께 중소기업 지원으로 중소기업과 대기업 간의 공생 발전이 가능한 모바일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최문기 미래부 장관은 "5G 이동통신은 지식과 정보가 유통되는 핵심 인프라로서 콘텐츠와 플랫폼, 디바이스와 연계돼 앞으로 큰 경제적 파급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민ㆍ관이 함께 힘을 모아 선도적 기술개발 및 활성화 등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hlee@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