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지루하게 지속되던 그리스 부채 탕감을 위한 협의가 거의 마침표를 찍으면서 국내외 증시와 금융시장에 화색이 돌고 있다.

그간 채권국 및 채권금융기관과 그리스 정부간에 지속되던 협의는 `집단행동조항(cac's)' 발효시 95%를 넘는 동의율로 확정돼 그리스 입장에서는 약 삼분의 일 가량의 부채탕감 효과를 누리게 됐고, 채권자들은 최악의 무질서한 디폴트 상황을 면하고 투자금액의 일부를 보전하게 됐다.

채권자 그룹과 그리스 정부간의 공방은 유로존 자체의 태생적 취약점을 그대로 노출시켜 투자자 심리의 불안을 고조시킨 바 있으며 각종 설익은 추측 및 의견의 대두로 시장참가자들에게 커다란 악재로 작용해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결과가 좋으면 모든 것이 좋다고 했던가. 이번 협상 타결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추진되어온 금융시장 안정대책들이 헛된 논의만은 아니었음을 입증하기도 했다.

가장 대표적인 부문이 신용부도스왑(Credit Default Swap)의 정리절차인 것으로 보인다.

리먼 사태 당시, 천문학적인 규모의 신용파생상품 관련 위험으로 시장은 거의 정지상태에까지 몰렸던 것을 감안하면 이번 그리스 사태에서는 그 파장이 미미한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거래 관련 위험이 아직 100% 노출된 것은 아니므로 좀 더 지켜보아야 하겠지만 2008년과는 확연한 대비를 보이는 건 사실이다.

각국 금융당국은 CDS를 비롯한 신용파생상품의 위험을 통제하기 위해 청산소 도입, 상품의 표준화, 거래담보 징구 등의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금번 위기에서 그간의 노력이 빛을 발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노력은 당장 시장의 혼란을 줄여 안정에 도움이 된 면이 크게 부각되나, 장기적으로는 신용부문에 대한 시장의 방어대책(Hedging Tool)으로서의 유효성이 유지되며 시장 유동성에 도움을 주고 투자자에게도 지속적으로 편익을 제공할 것이란 면에서도 중요하다.

국내에서도 일부 파생상품의 거래에 대한 청산소 도입이 논의되는 등 금융시장 안정을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급속한 해외자본의 유출입에 대비하여 한국에 투자하는 아시아 중앙은행들과의 협조체계 구축도 추진되고 있다는 소식이 들린다.

후회는 아무리 일찍해도 늦다. 성실한 준비만이 시장안정을 위한 유일한 대책이라 할 것이다.(산업증권부장)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