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세계에서 미국과 영국이 그나마 고용과 소비, 부동산 등 각종 경제지표가 순항하면서 경기회복에 대한 자신감이 붙고 있다.

미국은 최근 '고용 서프라이즈'라는 찬사를 받을 정도로 고용시장이 호전됐으며 근간인 제조업도 꾸준히 회복되고 있다. 1분기에 미국 경제를 악몽에 몰아넣었던 '한파' 충격에서 어느 정도 벗어나는 모양새다. 2분기에는 3% 이상의 고성장 국면에 재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영국은 기업투자 활성화와 수출 회복, 민간소비 증가 등을 바탕으로 경제가 호전되고 있다.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올들어 최고치(57.5)를 기록해 제조업이 살아나고 있다. 경제성장의 모멘텀이 전반적으로 확산되는 모양새다. 영국의 5월 부동산 가격은 작년 대비 11.1% 올랐다. 런던(4월)의 부동산 가격은 18.7%증가해 부동산 시장이 과열되고 있다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양국은 금융지표도 활황세를 보이고 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17,000선을 돌파했고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지수도 2,000선 돌파를 예고하고 있다. 영국의 파운드화는 6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두 나라에선 기준금리 인상론이 세를 불려가고 있다. 미국은 현재 진행중인 양적완화 축소를 10월까지 완료하고, 기준금리를 인상할 시기를 가늠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에선 내년 중반쯤에 연방준비제도가 기준금리를 25bp 가량 인상해 제로금리를 탈출할 것으로 보고 있다. 영국은 연내 금리인상론이 제기되고 있다. 정책변수 역시 두 나라가 닮은꼴인 셈이다.

마크 카니 총재가 이끄는 영국 중앙은행이 미국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을 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영국이 연내 금리를 올리고 내년에 미국이 금리를 올린다면 이런 평가가 재부각될 것으로 보인다.

두 나라의 금리인상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지속된 비정상적 통화정책 기조의 종결을 의미한다. 금융위기라는 비정상의 시대에 양적완화라는 비상체제에서 탈피해 기준금리가 정책변수로 다시 자리잡는다는 의미도 찾을 수 있다. 이른바 '비정상의 정상화'다. 두 나라의 금리인상은 세계 통화정책의 흐름의 중요한 변곡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 의미에서 9~10일 열리는 영국의 통화정책 회의는 각별히 주목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물론 다른 중앙은행의 정책 방향에도 많은 시사점을 던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양적완화를 시행하거나 준비하는 일본과 유럽 중앙은행도 미래에 출구전략을 짤 때 영국의 사례는 좋은 본보기가 될 것이다.

영국이 당장 이번 회의에서 금리를 올리진 않겠지만 하반기 금리 인상을 앞두고 다양한 시그널을 제시할 것으로 전망된다. '통화정책의 개척자' 카니 총재가 어떤 방식으로 금리인상을 진행할지 시장참가자들과 중앙은행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국제경제부장)

(서울=연합인포맥스)

jang73@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