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30년 공직기간을 통해 한국 경제와 금융산업 발전에 미약하나마 기여했고, 재직기간중에 박봉을 탓하지 않고 운신이 자유롭지 못한 것을 잊고 지낼 수 있었던 것은 그나마 직업에 대한 소명 의식 때문이었다"

사석에서 만난 소위 `모피아' 출신인 A 금융 기관장의 토로다.

그는 "대부분 공직자들의 소명의식은 폄하돼선 안 되며, 30년간 쌓은 경험을 퇴직후 유관기관에서 활용하는 것은 개인적인 복지 차원이 아니고 국가적 `인적 자원' 활용"이라고 역설했다.

최근 경제.금융 당국 고위공무원들의 분위기는 그야말로 찬바람이 불고있다. 국가와 금융산업에 혼신의 힘을 다한 결과가 `관피아',`모피아'에 대한 사회적 눈총으로 귀결되고, 일부 부처의 부정과 책임회피가 전체 공무원들에 대한 명예를 훼손하고 있다는 탄식이 나온다.

힘들게 행정고시를 통과하고 고위공무원까지 오른다고 하더라도 이제는 향후 큰 비전이 없다고 판단한 우수 인력들의 민간 부문으로 이탈 조짐도 일부 나타나고 있다.

최근 민간으로 이직을 준비중인 금융당국 한 고위 공무원은 성실하고 합리적인 성향으로, 주변의 좋은 평가를 받던 인물이다. 그가 표면적으로 토로한 퇴직의 이유는 늦기전에 새로운 분야를 개척해보겠단 것이었지만 왠지 그 이유만은 아닌 것 같다.

일부에선 이런 우수한 공무원들의 사기가 떨어진 침체 분위기 속에서 과연 우수한 신규 인력들이 경제.금융 공직을 지원하겠냐고 우려하기도 한다.

경제금융 고위공무원 진입의 첫 관문인 행정고시 선발인원도 줄어드는 상황에서 고시 부문 최고 인재들이 경쟁해 온 재경직 인력의 질적 저하가 우려되는 것은 국가시스템 차원에서 점검해볼 부분이기도 하다.

`세월호 사태' 이후 정부가 내놓은 '관피아' 척결 대책으로 금융위 공무원의 경우 금융회사는 물론 상장사 재취업의 길까지 막혔다. 그러다보니 퇴직 전에 민간으로 나와야 한다는 압박이 더해진 것은 당연한 일이다.

`관피아'에 대한 개혁은 반드시 이뤄져야 하지만 금융당국의 고위 공무원들이 가진 노하우와 인력풀이 부정부패로 얼룩진 일부 관피아와 함께 휩쓸려 비난받고 외면당한다면 그 또한 국가적 손실임은 분명하다.

(산업증권부장)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