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신윤우 기자 = 킴엥 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아태지역 정부 신용평가 담당 상무는 한국의 신용 등급 상향을 위한 최우선 과제로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꼽았다.

   

금융권의 대외 채무 의존도와 구조 개혁, 가계부채 문제 등도 등급 상향을 위한 주요 고려 대상으로 그는 꼽았다.

킴엥 탄 상무는 1일 연합인포맥스와의 단독 인터뷰에서 "한국이 국가 신용 등급을 올리기 위해선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달성해야 한다"며 "안정적인 경제를 이룩하기 위해선 성장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금리인하 이후 구조개혁 통한 지속성장 필요

그는 "금융권의 대외 채무 의존도를 현재보다 더 줄이는 것도 신용 등급 상향의 고려 요인이 될 것"이라며 "현재 신용등급 전망은 안정적(stable)이다"고 설명했다.

탄 상무는 한국 경제가 성장하기 위해서는 금리 인하에 이어 구조 개혁이 뒤따라야 한다며 가계 부채 문제도 주의 깊게 살펴야 한다고 전했다.

그는 "우크라이나와 이라크 등 지정학적 우려가 지속하고 유로존이 완전히 회복세로 돌아서지 않았다"며 "세월호 사태 이후 내수도 침체돼 한국은행이 금리를 인하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탄 상무는 "금리 인하로 장기적인 성장을 끌어내는 것은 역부족"이라며 "이번 조치 이후 한국 정부가 의미 있는 수준의 구조 개혁으로 뒷받침해야 장기적인 경제 성장이 뒤따를 것이다"고 지적했다.

그는 "현재 한국의 가계 부채가 단기적으로 위험한 수준은 아니지만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된다면 가계 소득에 영향을 줘 내수가 위축될 것"이라며 "수출 의존도가 높아져 경제의 취약성이 커지는 악순환에 빠질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탄 상무는 "이 때문에 한국처럼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경제에서는 성장이 중요하다"며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선 가계 부채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킴엥 탄 상무를 비롯한 S&P 관계자들은 지난달 26~28일 방한해 정부와 국가신용등급 평가를 위한 연례협의를 가졌다.

관계자들은 기재부와 한국은행,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등을 방문했고 S&P는 이른 시일 내에 한국의 신용등급을 발표할 예정이다.

S&P는 지난해 9월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으로 'A+'를, 등급 전망으로 '안정적'을 부여한 뒤 이를 유지하고 있다.



◇北리스크, 韓 등급 제약요인…통일돼도 신용등급엔 부정적

탄 상무는 북한 리스크가 한국 정부의 신용 등급을 제약하고 있다며 통일이 이뤄져도 단기적으로 신용 등급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당장 북한이 불안정한 상태로 빠질 가능성이 매우 작지만 북한이란 존재가 없다면 한국의 정부 신용 등급은 더욱 높을 것"이라며 "북한이 붕괴하거나 불안정한 상황이 되면 한국의 신용등급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고 말했다.

탄 상무는 "특히 남북한의 무력 분쟁이 발생할 경우에는 영향력이 더 클 것"이라며 "분쟁 없이 평화 통일이 이뤄진다 하더라도 단기적으로 신용 전망은 '부정적'으로 돌아설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소득 수준과 인프라, 사회보장 격차 등 남북한 간의 경제 불균형이 워낙 크다 보니 남한이 북한을 지원해주는 상황이 될 것이기 때문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그는 "장기적으론 남북한이 통합을 어떻게 이뤄내는지에 따라 경제 성장의 잠재력은 천지차이일 것"이라며 "통일 과정에서의 정부 정책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美 금리인상, 韓경제 영향 미미

아울러 탄 상무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본격적인 긴축 기조로 돌아서도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할 것이라며 오히려 수혜를 보게 될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탄 상무는 "Fed 자산 매입을 종료하고 금리를 인상해도 한국의 자금 유출 규모는 크지 않을 것"이라며 "신용 경색이 발생하거나 긴축 기조로 돌아서게 할 정도의 영향을 주진 않을 것이다"고 예상했다.

그는 "한국은 주변 국가 대비 상대적으로 신용 등급이 높고 법치주의도 정착돼 있어 선진국 대열에 있는 국가"라며 "외국인 투자자들이 여전히 한국 시장에 매력을 느끼고 있다"고 평가했다.

탄 상무는 "일부 자금 유출에 원화가 약세로 돌아서고 이는 수출이나 관광 산업에 호재가 될 수 있다"며 "미국의 긴축은 글로벌 경제 회복과 투자 심리 회복으로 이어져 한국이 수혜를 볼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탄 상무는 한국의 경상 수지 흑자 행진에 명암이 있다며 일부 대표 기업의 실적 부진이 한국 경제 펀더멘털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원화가 강세인데도 수출이 호조라는 점은 그만큼 경쟁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긍정적인 부분"이라면서도 "저축이 늘고 투자가 이뤄지지 않는 것도 경상 수지 흑자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탄 상무는 "이는 장기적으로 한국 경제 성장에 대해 의구심을 품어 투자할 의미를 찾지 못하는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며 "이 때문에 한국 정부가 최근 들어 투자를 촉진시킬 여러 가지 방침을 내놓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그는 "삼성전자 등 일부 대표 기업들의 실적 부진이 심각할 경우 성장세나 경상 수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면서도 "본래 기업들은 경기에 민감해 실적 변동이 크게 마련이어서 정부 신용 평가에 악재가 될 것으로 보진 않는다"고 덧붙였다.

 

   
 
 





<킴엥 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아태지역 정부 신용평가 담당 상무>

ywshi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