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김성진 기자 = 외국인들의 일본 국채 보유 비중이 지난해 말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5일(미국시간) 일본은행(BOJ)의 자료를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해외 투자자들의 일본 국채 보유 비중은 지난해 말 8.5%를 기록, 1년 전보다 2%포인트 증가했다.

이 비중은 지난 2008년 9월 리먼브러더스 파산 위기가 막 터졌을 때 8.6%로 최고치를 기록한 바 있다.

단기 재정증권을 포함한 일본의 정부부채 920조엔 가운데 지난해 말 외국인들이 보유한 물량은 78조엔으로, 사상 최고 수준을 보였다.

외국인의 보유량 가운데 65%가량은 장기물이었다.

BOJ 관계자는 "지난해 말 여러 나라의 재정 상황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일본 국채의 상대적인 안정성이 부각됐다"면서 "이 때문에 외국인 투자자의 비중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또 "외국인들의 보유 비중이 10%를 밑돌고 있지만, 주요 투자자로서 비중을 늘려가고 있다"고 말했다.

WSJ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일본의 정부부채 비중은 그리스보다도 훨씬 높은 200%에 달하지만, 내국인의 국채 보유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은 덕에 국채시장의 안정성이 유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외국인 투자자들은 일본의 경제전망이나 재정 상태가 악화하면 국채를 처분할 가능성이 내국인보다 큰 것으로 관측된다.

외국인의 비중이 적절히 증가하는 것은 65%의 국채를 보유한 자국 은행과 보험사에 대한 의존도를 낮춘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된다고 저널은 전했다.

일본 농림중앙금고(Norinchukin) 연구소의 미나미 다케시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외국인들이 국채를 사는 것은 반가운 일이지만, 앞으로도 그럴 것으로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전망했다.

RBS증권 일본법인의 니시오카 준코 이코노미스트는 "외국인 비중의 증가 추세는 일본 내 초과저축이 줄고 있는 장기적인 추세와 꼭 들어맞는다"면서 "그러나 일본의 디폴트(채무불이행) 리스크를 높일 수 있는 수준과는 거리가 한참 멀다"고 진단했다.

sjkim2@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