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성규 기자 = 금융 검찰 금융감독원의 2인자인 수석부원장 자리는 금융권에서 막강한 권력과 내부 권한을 행사하는 자리다. 하지만 언젠가부터 수석부원장이 조직 내부에서 권한 행사는 커녕 `왕따설'에 휩싸이며 갖은 수모를 겪었던 것도 공공연한 사실이다.

전 금융감독원장인 최수현 원장도 수석부원장 출신 원장이다. 당시 수석부원장은 금융사 뿐 아니라 조직내에서도 입지가 탄탄했다. 최 원장 뿐 아니라 역대 수석부원장도 마찬가지였다.

금감원 수석부원장은 금융사의 제재를 결정하는 제재심의원위원장이면서 팀장급에 대한 인사권까지 행사했다. 인력·예산 편성 과정에서는 금융위원회 부위원장과 카운트파트 역할을 했다.

매주 수요일 열리는 금감원 전략홍보협의회는 수석부원장이 주재하는 회의로 이른바 `군기 잡는 회의'로 불릴 정도였다.

이 회의에서 수석부원장은 내주 언론에 배포될 보도 내용을 미리 점검하고 경우에 따라 문구 수정 등을 부원장 이하 임원·국장들에게 직접 지시를 내리며 조직을 장악했다.

그러나 최수현 당시 수석부원장이 원장으로 취임하면서 상황은 달라졌다. 힘의 균형추가 원장과 수석부원장으로 양분되지 않고 수석에게 부여된 인사권이 제한되기 시작했다.

인사권을 행사하지 못하는 수석부원장은 조직 장악을 할 수 없게 되고, 임원을 포함한 직원들까지도 일부는 보고 라인에서 수석부원장이 배제되기 조차한 것으로 알려졌다. 자연스레 인사권을 가진 원장에게 힘이 몰리게 됐다.

KB사태 당시 제재심의 과정에서 제재심의위원장인 수석부원장에게 자신과 뜻이 맞지 않다고 검사국장이 항명의 목소리를 내기도 했고, A 임원은 독립적 판단을 해야 할 제재심의 위원과 개별 접촉해 원장 지시 사항이라며 제재 양정을 바꾸려는 시도 가 행해지기도 했다.

최 전 원장은 자진사퇴 형식을 갖췄지만, KB사태의 책임 등으로 경질된 것이나 다름없다. 자신한테 집중된 권한을 남용한 결과고, 이를 맹목적으로 추종한 금감원의 일부 임직원들 때문이다.

현재 최종구 전 수석부원장 후임에는 서태종 금융위 산하 증권선물위원회 상임위원이 거론되고 있다.

진웅섭 금감원장이 직접 수석부원장으로 서 위원을 선택했다는 후문이다. 금감원의 투톱 체재가 파열음 없이, 당초 원장과 수석부원장이 균형 갖춘 조직 운영방식의 모습으로 복귀될 수 있을지는 신임 원장에게 달렸다.(산업증권부 금융증권팀장)

sglee@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