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금융위원장이 교체되면서 금융가는 새 금융감독 수장의 정책 방향과 강조점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2년전 등판했던 신제윤 위원장과 17일 취임한 임종룡 위원장의 취임사를 비교해 보면 금융당국의 정책과 감독방향의 같은 점과 달라진 점이 무엇인지 감지할 수 있다.

신임 임 위원장의 취임사는 `금융개혁'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전임 신 위원장도 취임사에서도 금융지주 개혁과 금융소비자보호시스템, 정책금융 개편 등 개혁을 기치로 내걸었다.

그러나 두 사람의 `개혁'은 성격이 다소 다르다는 것을 살필 수 있다.

신 전 위원장의 개혁은 당시 문제가 됐던 금융지주사들의 지배구조라든가 소비자들의 보안문제가 걸려 있던 터라 금융권의 고질적인 병폐를 수습하는 해결사적 측면이 있었다고 한다면, 임 위원장의 개혁은 그가 밝힌대로 '경제활성화를 위한 금융개혁'이다.

실물지원 역량을 강화하고, 금융산업경쟁력 제고 등이 큰 틀이며, 하부에는 금융감독의 쇄신을 통해 금융산업을 부양해 경제전반에 온기를 불어넣는 발전적 방안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신 전 위원장이 핀테크를 통해 중소기업들의 지원의 길을 텄다고 한다면 임 위원장은 기업들의 자금조달을 위한 자본시장의 실질적인 개편 방안에 착수했다.

코스피·코스닥·코넥스 시장이 각각 특성에 맞게 경쟁할 수 있도록 거래소 제도를 개편하고, 사모펀드와 모험자본을 획기적으로 육성한다는 구체적인 방안도 제시했다.

감독당국의 역할도 그의 `부드러운 카리스마'의 이미지처럼 '코치'에서 '심판'으로 재정립하기로 했고, 무엇보다 금융기관에 대한 인사 불개입 원칙을 강조하며 공정한 심판의 역할을 천명하는 모습은 인상적이다.

주택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황비율(DTI) 규제에 대한 두 수장들의 스탠스도 다소 차이가 있다. 신 전 위원장 취임 당시는 DTI,LTV 완화가 은행들이 소비자를 상대로 '약탈적 대출'을 일삼을 수 있다고 경고하는 모습이었지만, 신임 위원장은 제도 자체 보다는 가계부채와 관련한 위험성에 대해 관련 기관과 정책 공조를 강조하는 모습이다.

금융위 신구 수장의 비교를 통해 현 정부의 전체적 경제정책 방향의 변화도 짐작해 볼 수 있다.

현 정부의 지난 2년간 경제정책이 부정적이고 부실한 측면에 대한 개혁작업이었다고 한다면, 현 정부 2라운드 정책은 임 위원장의 취임사에서 보듯, 보다 발전적이고 적극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그런 의미에서 신제윤 전 위원장과 신임 임종룡 위원장의 바통터치는 잘 짜여진 훌륭한 각본이다. 훗날 두 경제 관료가 이뤄낸 성과는 한국의 금융과 경제 진보에 큰 족적으로 평가될 것이라 믿는다.

(산업증권부장)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