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중국이 위안화 환율변동폭을 0.5%에서 1.0%로 확대했다. 지급준비율 인하나 금리 인하를 예상했던 국제금융시장에서 전혀 눈치 채지 못했던 대책이다.

이를 염두에 둔 듯 중국은 금융시장이 잠든 주말을 이용해 이를 발표했다. 금융시장 가격변수에 대한 영향을 최대한 줄이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국제금융 전문가들은 주말 내내 위안 환율변동폭 확대의 파장을 놓고 씨름했다. 예측하지 못한 변수인 만큼 다양한 해석과 전망이 나오고 있다.

백가쟁명식으로 나오는 분석을 세가지 이슈로 정리해봤다.



▲원론적 해석 = 중국의 환율변동폭 확대는 위안화 절상을 의미하는 것이다. 환율변동폭을 넓힘으로써 위안화 절상에 속도를 낼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는 과거 몇 년간 시장을 지배했던 프레임이다.

시기적으로도 지금이 적절하다. 환율절상을 요구하는 서방의 압력이 약해질 때 중국이 주도적으로 환율을 개혁하는 모습을 과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환율은 주권이므로 우리 방식대로 한다'는 명분도 지킬 수 있다.



▲정치적 해석 = 중국의 환율변동폭 확대는 정치적 제스처다. 20~21일 열리는 G20(주요 20개국) 재무장관 회의와 국제통화기금(IMF) 회의를 염두에 둔 포석이라는 것이다.

국제 회의에서 중국 환율이 이슈화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선제적인 결정을 내렸다는 것이다.

깜짝 발표를 통해 대내외에 환율 자유화와 시스템 개혁을 추진한다는 선전 효과도 극대화했다는 분석이다.

미국과 중국은 서로 견제구를 하나씩 던졌다. 미국은 15일 예정됐던 환율보고서 발표를 미뤘다. IMFㆍG20 회의는 물론 중국과 경제전략대화를 끝내고 난 뒤 보고서를 내겠다며 중국을 우회적으로 압박했다.

미국이 환율보고서 발표를 연기한 뒤 몇 시간 만에 중국의 위안 환율변동폭 확대 조치가 나왔다.



▲역발상 해석 = 환율변동폭 확대를 계기로 위안화가 오히려 절하될 것이다. 주로 서방언론과 전문가들이 이렇게 본다. 중국의 경제상황과 환율을 볼 때 이제는 일방적인 절상만 볼 게 아니라 위ㆍ아래 두 방향을 모두 계산에 넣어야 한다는 것이다.

최근 중국의 무역수지와 성장률은 모두 적신호를 보내고 있다.

중국은 2월에 315억달러의 무역적자를 기록했다. 이 후유증으로 1분기 무역흑자는 7억달러에 그쳤다.

중국의 1분기 경제성장률은 8.1%다. 중국이 사회불안정을 막기 위한 최소한의 성장률인 8.0% 사수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된다. 수출이 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국으로선 위안화 절하가 절실한 셈이다.

환율변동폭 확대는 곧 변형된 경기부양책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환율변동폭을 확대해 위안화를 절하함으로써 수출을 부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원자바오 총리는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환율 균형을 언급했다. 그의 발언을 현재 시점에서 재해석하면 위안화는 절상보다 절하로 갈 확률이 더 높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조지프 스티글리츠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는 "위안화는 절상보다 절하될 가능성이 더 크다"고 말했고 월스트리트저널은 "환율변동폭 확대 발표로 위안화 절상 베팅은 이제 끝났다"고 했다. (국제경제부장)

jang73@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