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자상환비율이란 가계가 매월 벌어들이는 소득에서 세금과 연금, 사회보험 등 각종 비소비지출을 빼고 남은 금액을 일컫는 처분가능소득에서 이자비용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즉 이자상환비율은 가계가 실제 처분 가능한 소득에서 이자비용이 얼마나 되느냐를 나타내는 것으로, 그 비중이 높다는 것은 가계부채에 따른 이자 상환부담이 크다는 뜻이다.

한국은행은 지난 22일 '부채경제학과 한국의 가계 및 정부부채'라는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4분기 이자상환비율이 2.72%라고 발표했다.

한국은행은 이자상환비율의 임계치를 2.51%로 산출하면서, 지난 2009년 3분기 이후 이 임계치를 지속적으로 넘고 있었다고 진단했다.

과거 우리나라가 이 임계치를 넘었던 것은 국제통화기금(IMF)의 구제금융을 받았던 지난 1997년부터 2년여 동안이었다.

이자상환비율이 임계치를 넘어서면, 가계부채가 1% 증가할 때 소비는 0.16% 감소하고 금리가 오를수록 소비는 줄어들게 된다고 한국은행은 설명했다.

가계의 이자상환비율이 임계치 이하일 경우 부채가 늘어도 소비는 늘지만, 반대의 경우에는 원리금을 갚느라 소비 여력이 줄어들게 된다는 설명이다.

결국 '채무부담 증가→소비감소→내수위축→소득축소→채무부담 증가'라는 악순환의 구조로 풀이되는 셈이다.

한국은행은 지난 16일 올해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전망치를 기존의 3.7%에서 3.5%로 낮추면서, 민간소비 증가율을 3.2%에서 2.8%로 대폭 하향조정했다.

임금상승과 고용사정 개선으로 가계의 실질구매력은 개선되겠지만, 가계부채 누적에 따른 원리금 상환부담 증가가 소비 회복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지목됐기 때문이다. (정책금융부 김대도 기자)

(서울=연합인포맥스)

ddki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