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부가 추진하는 금융권 성과주의 문화 확산에 은행장들까지 나서 동조하고 있지만, 정작 성과주의 문화 확산에 핵심 주체인 금융권 노조는 꿈쩍도 하지 않고 있다.

금융권의 성과주의 문화 확산 이슈는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들고 나왔다.

임 위원장은 최근 "금융개혁의 남은 과제는 성과주의 확산"이라고까지 말하며 (은행권의)고임금과 항아리형 인적 구조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진웅섭 금감원장도 출입기자단과 가진 간담회에서 "금융권 성과주의 문화 확산에 은행장들도 동조한다"며 "금감원도 금융위와 함께 성과주의 문화 확산을 추진해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금융사별) 특성이나 노조의 반발 등 어려운 점이 있다"고 덧붙였다.

은행권에 성과주의 문화가 확산하려면 금융당국과 은행장의 의지만으론 불가능하다. 노조의 동참이 있어야 가능한 한 일이다.

그러나 연공서열에 익숙한 금융권 노조에 성과주의 문화를 받아들이라고 하면 선뜻 받아들일 리 없다.

금융당국이 압박하고, 은행장이 나서 설득해도 어려울 것이다.

만일 금융권의 성과주의 문화 확산 정책이 합리적이고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것이라면 노조가 아닌 국민에게 물어보는 것이 더 나을 수 있다.

금융권의 경쟁력 제고와 함께 국민적 공감을 얻는 정책이라면 노조가 무조건 반대하긴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반대로 금융권의 성과주의 문화 확산이 금융권 종사자의 노동 질 뿐 아니라 대국민 금융서비스의 질을 저하로 이어지고, 그저 저성과자의 퇴출을 유도하는 정책에 그친다면 노조 뿐 아니라 국민의 공감도 얻어내기 어려울 것이다.

금융당국도 금융권 성과주의 문화 확산이 만만치 않은 과제임은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먼저 국책은행을 대상으로 호봉제 중심의 임금체계를 연봉제로 바꾸는 방안을 추진하겠다는 생각이다. 성과주의가 국책은행에서 정착되면 이를 시중은행으로 자연스럽게 확대시키겠다는 복안이다.

그러나 성과주의 문화에 국책은행이 더욱 경직된 반응을 보이고 있다.

기업은행 노조는 성명을 통해 "금융 개혁의 탈을 쓴 노동 개악을 멈춰야 한다"며 총파업 투쟁을 예고하기도 했다.

은행권의 한 관계자는 "금융권 성과주의 문화 확산이 공공에서 민간으로 확대될 수도 있겠지만, 오히려 민간에서 확산된다면 공공기관은 이를 쉽게 수용하게 마련이다"며 "정부도 금융권 성과주의 문화 확산을 공공과 민간을 분리해서 접근하지 말고 민간이든 공공이든 간에 어디서든 먼저 성과주의 모범사례가 나올 수 있도록 물꼬를 트게 하는데 정책 역량을 집중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금융증권팀장)

sglee@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