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올해 주식시장의 특징 중 하나로 코스닥시장의 랠리(Rally)가 포함될 것이다.

올초 지수 530에서 7월엔 780까지 올랐다가, 다시 600초반으로 고꾸라진 코스닥시장은 바이오와 화장품 업종이 각광받으며 과열 양상이 일기도 했다.









하지만 연말 코스닥시장의 분위기는 냉각돼 있다.

중소.중견기업들이 주류인 코스닥 시장이 대외 여건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이겠지만 대주주 요건 강화와 배당락이 임박한 시기적 요인으로 더 얼어붙었다는 분석도 나온다.

코스닥 상장 기업은 중소기업으로 분류돼 대주주나 일반주주할 것 없이 주식 양도소득세 10%만 내면 됐다. 그러나 지난 2일 국회를 통과한 소득세법 개정에 따라 내년부터 중소기업도 대주주는 20%의 주식 양도소득세를 부과받게 된다.

현재 코스닥 상장사 지분 4% 이상이나 40억원 이상 주식 보유자로 규정된 대주주 요건이 이달 28일 이후엔 지분율 2% 미만으로 축소된다는 점도 시장 유동성을 저해하는 요소다.

오는 29일 배당락으로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우려한 투자자들이 배당을 포기하고 주식을 사지 않는다는 점도 주가를 취약하게 만들 것이다.

더 큰 요인은 `부실 기업'에 대한 두려움이다.

국내 30대 그룹의 1천여 계열사 가운데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곳, 즉 한 해 벌어들인 영업이익이 이자 비용보다 적은 기업의 비중이 전체의 22% 가량이라고 한다.무엇보다 미국 금리인상을 앞둔 시점에서 부실 채권에 투자한 증권.운용사가 환매에 실패할 경우 연계된 주식 관련 상품들의 환매가 나올 수 있다고 증권업계에서는 경고한다. 위험 자산으로 분류되는 조선과 건설업종에 대한 내년 전망도 밝을 리 없다.

대외 유동성 요인도 마찬가지다. 중동 주요국들은 이미 오일머니의 위축을 우려해 자금 회수에 나섰다는 분석도 나온다.

회사채 발행과 IPO 시장 등 기업 자금조달 시장도 미 금리인상이나 한계기업 구조조정 여파를 확인한 뒤 움직일 것으로 추정해보면 연말과 연초 주식시장 전망은 흐릴 수밖에 없다.

코스닥 상장사들의 펀더멘털 훼손에 대한 우려 역시 유가증권시장에 비해 더 빠르게 다가오기 마련이다.

다만, 위기는 투자시장에 있어서 늘 기회를 가져다 줬다는 점도 기억해야 한다. 위험에 대비는 하되 과도한 우려는 자제해야 할 것이다.(산업증권부장)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