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회원제 골프장이 '김영란법'(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시행을 앞두고 심리적 공황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영란법 시행이 가뜩이나 어려운 회원제 골프장의 경영에 치명타가 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일부 전문가는 김영란법 시행에 따른 후폭풍을 가늠하려면 일본의 경우를 살피는게 순서라고 말한다. 일본에서도 2000년부터 5천엔 이상의 접대를 금지한 공직자윤리법 시행이후 골프장 회원권 가격이 폭락하는 등 다양한 변화가 목격됐기 때문이다.



◇ 김영란법 시행되면 골프장 회원권 가격 더 내릴 것

일본의 골프장 회원권 가격은 최고점 대비 10분의1 토막이 나는 등 공직자윤리법 시행의 타격을 고스란히 반영했다. 이른바 접대골프가 사라졌고 기업들도 비싼 골프장 회원권을 보유할 유인이 줄어든 결과다.

부동산 거품 붕괴와 저출산, 고령화까지 겹쳐 골프 인구도 가파르게 감소했다. 일본 생산성본부에 따르면 1년에 한번 이상 골프를 친 골프인구는 1992년에 1천480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2012년 790만명 수준까지 줄었다. 더 심각한 건 골프인구의 절대적인 규모보다 연령대별 분포다. 2012년 기준으로 70대 19%, 60대 23%, 50대 18% 등 장노년층 인구가 60%를 차지하고 있어서다.

일본에선 2021년께 골프인구가 700만명 수준으로 곤두박질칠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치까지 나온다. 우리 베이비부머 세대와 닮은꼴인 단카이 세대(종전 후 1947~1949년 사이에 태어난 인구)가 80대에 가까워지면서 골프 인구가 급속히 줄고 있기 때문이다.



◇ 골프 회원권 가격 추이는 일본과 판박이

골프회원권 가격의 추이만 보면 우리도 일본이 10~20년전 간 길을 정확하게 따라가고 있다. 특히 최고가 골프장 회원권 가격은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반토막 수준이하로 곤두박질쳤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전 20억원에 육박하는 초고가 회원권도 있었지만 지난해 기준8억원 이상의 회원권 가격을 유지한 곳은 한 곳 뿐이었다. 2005년 평균 3억1천만원 수준이던 회원권 가격은 지난해 1월 기준 1억2천만원 수준으로 반토막 이하로 자유낙하 중이다.





<골프장 회원권 가격 평균 추이:한국레저산업연구원>



회원권 가격 급락으로 자본 잠식된 회원제 골프장 수도 2015년 말 기준 72개소로, 조사 대상 159개사 중 45.3%에 이른다.

국내 골프장은 인구고령화와 청장년 고용부진 등 우리 경제의 덫을 고스란히 반영하며 내방객 감소로 신음하고 있다. 일본에서 목격된 골프인구의 쏠림현상이 우리나라에서도 감지되고 있는 셈이다. 국내 한 골프 기업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골퍼의 40%가 50~60대였다. 40대가 30% 수준이고20~30대도 30%에 그치는 등 우리 골프인구도 빠른 속도로 고령화하고 있다.

일본은 동전의 양면처럼 골프장 회원권 가격이 폭락하고 경제활동인구가 줄기 시작한 시점부터 부동산 가격도 곤두박질치기 시작했다. 골프 부문에서는 닮은 꼴인 우리나라가 부동산 시장에서 일본과 차별화할 수 있을지 궁금하다.(정책금융부장)

neo@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