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전소영 기자 = 서울채권시장이 한국은행의 금리 인상 가능성을 앞두고 내년 금융통화위원회 일정에도 큰 관심을 보였다.

아직 내년 금통위 일정은 나오지 않았지만 적어도 향후 1년 이내에 금리가 인상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전제로 여러 전략을 구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

29일 연합인포맥스 컨센서스 종합(화면번호 8852)에 따르면 국내외 거시경제·채권 전문가들은 이달 금통위에서 기준금리가 동결될 것으로 내다봤다.

내년 1분기에는 금리가 인상될 것이라고 내다본 기관은 4곳으로, 전체의 약 24%를 차지했다. 내년 1분기 중 금리가 동결될 것이라고 예상한 기관 중에서도 2분기까지 시계를 넓혔을 때 금리 인상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한 기관이 대부분이었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만일 연내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경우 원론적으로 내수 경기 회복, 건설투자의 기여도 등에도 도움이 되지 못하기 때문에 금리 인상 소수의견은 빨라야 올해 10~11월에나 가능해 보인다"며 "이주열 총재의 임기를 고려했을 때 정부와의 정책 공조가 부각된다면 당초 전망했던 내년 2분기 인상보다 스케줄이 앞당겨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서울채권시장은 금통위가 올해부터 연 8회로 줄어들면서 내년 금통위 시기를 예상하는 것이 어려워졌다고 진단했다. 내년에 기준금리 인상이 단행된다고 해도 어떤 만기물을 담느냐에 따라 희비가 엇갈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올해 금통위 스케줄을 기반으로 봤을 때 매년 3, 6, 9, 12월은 금융안정회의로 기준금리 결정이 없다.

1, 4, 7, 10월은 한은의 수정경제전망을 발표한다. 이달은 이전처럼 매월 둘째 주 목요일이 될 가능성이 크다.

문제는 2, 5, 8, 11월이다.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금통위가 4주 간격에서 6주 정도의 간격으로 벌어지면서 네 차례는 매월 하순에 열릴 가능성이 크다.

특히 단기물의 경우 월말에 자금 수요 등으로 약세 흐름이 나타나기 쉬운 데다 금통위에서 기준금리까지 인상할 경우 단기물 수급에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채권시장은 긴장의 끈을 놓기 어렵다고 전했다.

한 자산운용사 채권 운용역은 "올해의 경우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적다는 판단을 하고 있지만, 내년에는 금리가 인상될 것이라는 컨센서스가 형성되면서 단기물의 긴장은 커지고 있다"며 "이주열 총재가 퇴임하기 전에 금리를 올리고 간다면 그 시기가 올해 11월이나 내년 2월 정도가 될 텐데 모두 월 후반에 금통위가 예정되어 있어서 단기물 리스크관리는 더 보수적으로 해야 할 듯하다"고 말했다.

syjeo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