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김대도 기자 = 27일 달러-원 환율은 1,110원대 중반에서 약간의 상승 압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추석 연휴 동안 달러-원 상단이 다소 눌려있었던 점을 고려하면 약세로 갔던 역외 위안화(CNH)와 어느 정도 눈높이를 맞출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수급상으로는 1,110원대 수입업체 결제수요와 수출업체의 월말 네고 물량이 균형을 이룰 것으로 점쳐진다.

무역분쟁 이슈를 뛰어넘기는 버겁겠지만, 의외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비둘기파적인 면이 부각하면 달러-원이 1,110원대 중반을 밑돌 수도 있다.

지난밤 연방준비제도(연준ㆍFed)는 시장 예상대로 기준 금리를 2.00∼2.25%로 25bp 인상했다.

연준이 성명에서 '통화정책 입장은 완화적'이라는 문구를 빼면서 일시적으로 달러 약세 흐름이 나타났지만, 달러는 다시 제자리를 찾아갔다.

이를 두고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통화정책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고 설명했다.

연준은 점도표를 통해 향후 기준 금리 인상 속도를 바꾸지 않았다.

올해 말 금리 중간값을 2.4%로 유지하면서, 여전히 12월 한 차례 더 기준 금리 인상을 시사했다.

내년 금리 중간값은 3회 인상을 의미하는 3.1%로, 2020년은 1회를 뜻하는 3.4%로 제시했다.

금리 인상 기조는 2021년에 중단될 가능성이 있으며, 종착역은 3.25∼3.50%로 예상된다.

연준은 다만 장기금리가 전망치를 종전 2.9%에서 3%로 올려 잡으면서, 매파적인 행보도 보였다.

파월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일부 자산은 역사적 밴드의 상단에 있다면서도, 달러 강세에 대해서는 "작년에 하락한 부분의 일부만 회복했다"고 평가했다.

주식시장이 조정받을 가능성을 지적함과 동시에 올해 달러 강세 폭이 유별나게 크지는 않았다는 얘기다.

달러 강세가 재개되더라도 이를 이해할 수 있는 범주로 볼 수 있다는 파월 의장의 인식이 드러났다.

정부는 이날 개장 전 고형권 기획재정부 1차관 주재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FOMC 이후 시장 반응 및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고 차관은 "미국의 점진적 금리 인상 기조가 재확인됐다"며 "시장 우려도 다소 완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은행도 전일 이주열 총재 주재로 금융·경제 상황 점검회의를 한 데 이어, 이날 오전에는 허진호 부총재보 주재로 통화금융대책반 회의를 한다.

미국은 지난 24일 예고대로 2천억 달러 상당의 중국 제품에 10% 관세를 부과했고, 중국도 600억 달러어치의 미국 수입품에 5∼10%의 보복 관세로 대응했다.

이 때문에 27∼28일 열릴 예정이었던 미·중 장관급 무역협상은 무산된 것으로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유엔(UN) 안전보장이사회 연설에서 중국이 자국의 11월 중간선거에 개입하기 위해 자국 농민을 해치고 있다고 비판했다.

반면 중국은 기계와 섬유제품 등 1천500개 이상의 수입제품에 대해 관세율을 11월부터 인하하기로 했다. 미·중 무역전쟁 속에 다른 국가로부터 수입을 확대할 계획이다.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나프타)에서 캐나다가 빠진 미국-멕시코 양자협정이 곧 발표될 것이라는 소식도 전해졌다.

이날 오전 김동연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혁신성장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혁신성장과 수요자 중심 외환제도·감독체계 개선방안'을 내놓는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0.40%)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0.33%), 나스닥 지수(-0.21%)는 모두 내렸다.

역외차액결제선물환(NDF) 시장에서 달러-원 1개월물은 전일 현물환 종가 대비 0.35원 오른 수준인 1,114.75원에 마지막 호가가 나왔다.

거래는 1,113.70∼1,115.00원에서 이뤄졌다. (정책금융부 금융정책팀 기자)

ddki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