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선영 기자 = 한국은행은 선진국 양적완화에도 최근 글로벌 유동성이 과잉상태는 아니라고 진단하면서도 민간신용창출이 회복될 경우에 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은은선물환포지션 한도규제, 외환건전성 부담금제도 등의 지속적인 수행으로 글로벌 유동성 과잉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은은 26일 '글로벌 유동성이 신흥국으로의 자본이동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글로설 유동성은 올해 3월말 기준 143조달러로 금융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했으나 글로벌 유동성 과잉 상태는 아니라고 판단했다.

한은은 글로벌 유동성을 G3(미국,유로존, 일본) 통화표시 신용총량을 달러로 표시한 것으로 정의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유동성은 지난 2001년말 76조달러에서 2008년 3월말 138조달러, 2011년6월말 142조달러로 증가했다가 2011년말에는 137조달러로 감소했다. 그러나 올해 3월말 143조달러로 다시 증가했다.





<글로벌 유동성 지표>

한은은 글로벌 유동성의 순환변동치와 증감율, 민간부문의 신용창출과 본원통화 공급에 따른 승수를 고려할 때 최근 흐름은 유동성 과잉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했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 2011년말 기준 미국과 유로존, 일본의 본원통화 공급은 약 5조9천만달러 수준이었으나 민간부문 신용창출은 137조달러에 그쳤다. 중앙은행의 양적완화 정책 등에 따른 유동성 공급에 비해 민간신용창출은 역사적 평균보다 낮은 수준이라고 한은은 분석했다.

한은 국제연구팀 관계자는 "최근에 글로벌 유동성이 2012년 3월말 다시 증가하면서 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했으나 유동성 총량으로 보면 과잉 상태라고 볼 수 없다"며 "QE 등에 따른 유동성 공급에도 민간은 경기 위축이나 유로존에 대한 불안감이 여전해 신흥국으로의 자금 유입은 채권, 주식자금 위주로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향후 주요국의 민간 유동성 창출이 회복될 경우 신흥국으로의 자본유입이 대폭 증가할 수 있는 만큼 글로벌 유동성, 특히 주요국 민간신용창출 수준과 연계한 선물환포지션 한도규제, 외환건전성 부담금 제도 등 자본관리정책의 지속적인 수행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syjung@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